道, 설명회 갖고 주민공감대 형성 나서
행정체제 개편 넘어 새 성장동력 강조

대전·충남 행정통합 범도민 공론화를 위한 홍성군 주민설명회가 23일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사진=권혁조 기자.
대전·충남 행정통합 범도민 공론화를 위한 홍성군 주민설명회가 23일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사진=권혁조 기자.
대전·충남 행정통합 범도민 공론화를 위한 홍성군 주민설명회가 23일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사진=권혁조 기자.
대전·충남 행정통합 범도민 공론화를 위한 홍성군 주민설명회가 23일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렸다. 사진=권혁조 기자.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주민 공론화 논의가 본격 시동을 걸었다.

충남도와 홍성군 등은 23일 홍성군 농업기술센터 대강당에서 대전·충남 행정통합 범도민 공론화를 위한 홍성군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해 필수적인 주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도내 15개 시군 순회 주민설명회가 홍성에서 첫 발걸음을 시작한 것이다.

이번 설명회에는 신영호 충남·대전 행정통합 특별위원회 위원장,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 배상목 홍성문화원장, 김승환 전 홍성군 경제문화농업국장 등이 참석해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대전·충남 행정통합과 관련한 궁금증을 논의했다.

토크콘서트에서 정재근 공동위원장은 “수도권 일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충남과 대전이 통합하면 행정·경제·정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전국 수출 2위의 충남과 R&D 중심의 대전을 통합하면 전국 3대 초광역 거점도시로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의 추진 배경은 수도권 일극화, 지방 소멸 위기 상황에서 단순한 행정체제 개편을 넘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영호 충남·대전 행정통합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중복 행정 축소, 예산 절감, 전국 공모 사업의 경쟁력 향상, 시도민의 혜택 극대화 등의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대전·충남을 통합하면 2045년까지 인구 645만명, 지역내총생산 694조원으로 각각 1.8배, 3.5배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며 “경제적으로는 규모의 경제와 산업단지 지정·국책사업 유치 등의 경쟁력 향상, 광역교통망 개선으로 주민 실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행정통합은 1+1은 2가 아닌 3, 4 등 그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날 설명회에서는 소위 ‘대충특별시’ 등 통합 명칭 논란, 충남의 대전 흡수 우려 등 주민들이 평소 궁금했던 사항이 집중 논의됐다.

정재근 공동위원장은 “대전충남특별시라는 명칭은 국회에서 특별법이 통과될 때까지 가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확한 명칭은 특별시로 결정된 후 결정될 것”이라며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어느 한쪽의 흡수가 아닌 광역자치단체간의 동등한 통합으로 균형발전 원칙은 법적으로도 명시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정 위원장 등은 행정통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도민의 적극적인 지지가 성공 여부의 관건이 될 것으로 내다 봤다.

그는 “행정통합은 중앙정부로부터 규제 완화·예산 자율권·정책 결정권을 얼마나 많이 이양받을 수 있는지가 핵심 관건”이라며 “행정통합은 시도민의 공감대와 지지없이 어떤 권한 이양이나 협상력 확보도 불가능하다. 시도민의 적극적 지지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