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8일 만에 지도부 오찬 회동
총리 인준·추경안 입장차 속 소통
6월 임시국회, 협치 분수령 예고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8일 만에 야당 지도부와 소통의 자리를 가지면서 실타래처럼 얽힌 정국을 풀어낼 수 있을지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취임 첫 일성으로 화합과 소통을 강조했던 만큼 예상보다 빠르게 야당 지도부를 만나며 협치에 대한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1대 국회부터 이어져온 극한대립을 풀어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및 인준 절차와 추경안 처리 등에서 여전히 갈등이 첨예한 상황이라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다만 이 대통령이 야당을 협치의 대상으로 인정한다는 의지를 반복적이고 적극적으로 드러낸 만큼 일부 변화를 기대하는 시각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22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송언석 원내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오찬을 겸한 회동을 가졌다.
취임 이후 숨돌릴 틈도 없이 곧바로 1박 3일 일정으로 G7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등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는 이 대통령은 회의 참석 결과 등을 설명하며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이날 회동에서는 의제를 별도로 정하지 않고 국정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주고받았다.
취임 후 단 18일만에 야당 지도부를 만나면서 야당과 소통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는 드러냈지만 넘어야 할 ‘산’은 아직 많이 남은 상황이다.
새 정부 인수위원회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국정기획위원회의 업무보고를 놓고 야당이 ‘갑질’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데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관련 의혹을 연일 비판하며 사퇴를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인수위 없이 출범한 새 정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국무총리 인선과 추경 등에 힘을 모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민의힘은 총리 후보자 인준과 추경안 처리에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수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총리 인준과 추경을 단독으로 처리할 경우 협치 가능성을 그만큼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오찬 회동이 진행된 22일까지도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 과정과 중국 대학 석사 학위 취득에 대한 의혹을 집중 제기하며 지명 철회와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여기에 법사위원장 등 상임위원장 재배분 문제까지 들고 나오면서 다수 의석을 확보한 여당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이와 함께 여당이 신속한 처리를 예고한 추경안도 처리 방식에 따라 여야 협치 가능성을 가늠할 주요 지점으로 꼽힌다.
여당은 경제 상황이 심각한 만큼 6월 임시국회 내에 추경안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민생회복지원금 등에 이견을 보이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최대한 국민의힘을 존중하고 합의 처리에 노력하겠지만 합의점을 차지 못할 경우 독자 처리도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