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국힘 새 원내대표 선출 절차 돌입… 원내 지형 일부 변화
선명성 경쟁·친윤-친한 대결… 법사위원장 등 갈등 요소 여전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6·3 조기대선 이후 전면전을 피하는 등 숨고르기에 들어간 여야 갈등이 새 원내 지도부 선출로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을지 정치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통합을 강조한 만큼 길었던 극한 대립 국면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협치가 가능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곧 3대 특검 출범을 앞두고 있는데다 형사소송법 개정안, 방송3법 등 여야 이견이 큰 법안 처리도 예정돼 있어 여야 협치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더불어민주당은 박찬대 원내대표의 뒤를 이을 차기 원내대표를 13일 선출한다.
신임 원내대표 후보에는 각각 서울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김병기·서영교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두 후보 모두 친명계 주류로 분류되는 만큼 마지막까지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특히 민주당이 이번 원내대표 선출부터 의원투표 외에 권리당원 투표 20%를 반영키로해 이재명 대통령을 지지하는 권리당원 표심이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민주당 차기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이 밝힌 ‘내란종식’을 위해 당정을 조율해야 하면서도 역시 이 대톨령이 강조한 ‘통합’에도 힘을 실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된다.
두 후보 모두 새 정부 출범 이후 집권 여당의 첫 원내 사령탑으로서 이 대통령을 강력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 새 원내대표는 누가 되더라도 국민의힘과의 관계를 개선하는데도 힘을 써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역시 오는 16일 새 원내대표 선출이 예정된 가운데 12일 수도권 3선 김성원 의원과 TK 3선 송언석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
두 의원 모두 비교적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지만 각각 친한계와 당내 주류 세력의 지지가 갈라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한동훈 전 대표 캠프에 합류했고 송 의원은 당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TK에 지역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대선 패배 이후 당이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및 계파 대결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국민의힘은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놓고도 이견이 표출되는 등 갈등이 심화된 상황에서 이번 원내대표 선거 결과가 향후 당권의 향방을 결정한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선 여야의 원내 지도부 교체로 당내 정치지형이 일부 변화될 경우 여야 관계 역시 일부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민주당이 방송3법과 ‘대통령 재판 중지’ 형사소송법 개정안 등 쟁점 법안을 새 원내대표 선출 이후로 연기한 만큼 해당 법안이 조만간 처리될 경우 정국이 급격히 냉각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뿐만 아니라 여야가 바뀐 만큼 법사위원장 자리를 돌려달라는 국민의힘의 요구에 민주당이 거부 입장을 밝힌 점도 향후 갈등을 키우는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