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억 투입…내달 말부터 7% 할인
연매출 30억원 이하 가맹점서 사용
소비촉진·내수 활성화 긍정적 효과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민생회복을 위한 정부의 ‘지역화폐 활성화’ 추진으로 대전시도 내수진작을 위한 ‘대전사랑카드’ 발행을 본격화 하고 있다.
‘내수 활성화’에 대한 지역 소상공인들의 요구가 높은 가운데 지역화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대전시의 노력이 더욱 강조된다.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내달 말부터 7% 할인율이 적용되는 ‘대전사랑카드’(지역화폐)를 국·시비 예산 소진 시까지 발행할 계획이다.
이번 지역화폐 발행에는 국비 40억원과 시비 141억원 등 1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목표 발행규모는 2600억원이다.
사용처는 지역 내 가맹점(연매출 30억원 이하)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업소 등은 제외된다.
대전사랑카드의 발행 일정이 공개되면서 지역 상권에서도 소비진작, 상권활성화 등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특히 중구에서는 지난 10일부터 발행을 시작한 지역화폐 ‘중구통’이 소비진작에 효과를 보이면서 ‘대전사랑카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 회장은 “중구의 경우 중구통 발행 후 소비진작이 어느 정도 확인되고 있다는 평가”라며 “대전사랑카드도 활성화된다면, 소비촉진과 내수 활성화에 긍정적일 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지역화폐의 개선점으로 지적된 ‘지역 쏠림 현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구·유성구 등 신도심에 집중된 지역화폐 소비를 분산시켜 전통시장 등이 밀집된 중구·동구 등 원도심에서도 지역화폐의 소비 진작 효과가 고르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2022년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온통대전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서는 대전시 전체 지역화폐 결제액의 약 69%가 서구·유성구에서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배종남 신중앙시장 상인회장은 “특정 지역에 지역화폐의 효과가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화폐가 곳곳에서 소비진작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운영제도 등을 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생지원금의 경우 일시적인 효과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한계”라며 “중장기적인 지역상권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소비진작 수단으로써 ‘지역화폐’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역 소상공인 관계자는 “민생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지역화폐를 선택한 만큼 시에서도 지역화폐의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시가 적극적인 태도로 지역화폐를 통한 내수활성화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