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민·대전본사 경제부 기자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다른 건 몰라도 대전사랑카드 부활은 꼭 필요하죠. 있을 때 없을 때 차이가 정말 커요."

올해 경제부로 배치 받아 상인회 관계자 등 현장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을 다양하게 만났다.

그들에게서 꼭 언급됐던 내용 중 하나는 지역화폐였다.

고물가·고금리·고정불안 3고 상황에서 당장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그들은 지역화폐를 꼽았다.

한때 대전 전역에서 활발히 사용되던 지역화폐 ‘대전사랑카드’는 정부의 국비 지원 중단으로 지난해부터 사실상 발행이 멈췄다. 이후 상권은 급속도로 얼어붙었고, 지역 상인들은 매출 감소라는 현실을 마주해야 했다. 다른 주제로 현장에 취재를 가도 결국 이야기의 끝은 지역화폐였다.

이를 다시 되돌려야 한다는 부탁 아닌 부탁이, 당부 아닌 당부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 정치권에서 이를 다시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현장은 반색하는 분위기다.

최근 국회가 지역화폐 예산에 4000억원을 추경으로 포함시키며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자영업자, 상인회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지역화폐는 온누리상품권과는 다른 소비 유도 효과가 있다’고 강조한다.

사용처가 제한적이라 소비가 특정 상권에 몰리는 온누리상품권과 달리 지역화폐는 골목상권 전반에 걸쳐 자금 순환이 가능하다는 점에 실효성이 크다는 주장이다.

물론 지역화폐 정책에도 보완점은 필요하다.

특정 업종에 소비가 몰리지 않도록 설계하고, 영세 상인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홍보와 관리가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상인회 관계자들은 지역화폐가 골고루 퍼지게 하려면 지자체의 정교한 설계와 개입이 필요하다고도 입을 모은다. 그들에게 지역화폐는 얼어붙은 내수에 온기를 불어넣는 마중물 같은 존재였다.

‘지역 돈이 지역에서 돌 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다’는 말의 무게가 새삼 체감되기도 했다.

지역경제의 숨통을 틔우는 장치라는 점에서 지역화폐는 존재 의미가 분명했다.

이제 공은 정치권으로 넘어갔다. 예산이 편성된 만큼, 이제는 실질적인 집행과 제도 정비가 따라야 한다. ‘대전사랑카드’라는 이름처럼 다시 지역에 온기를 퍼뜨릴 수 있는 기회가 오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