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조사로는 관련 강사 여부 확인 어려움
일각서 늘봄학교 전반 점검 필요 목소리도

교육부. 사진=연합뉴스.
교육부.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교육부가 극우 성향 교육단체로 지목된 ‘리박스쿨’ 관련 전수조사에 나섰지만, 강사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교육 관계자들은 늘봄학교 전반에 대한 중장기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11일 교육부에 따르면 오는 13일까지 리박스쿨 관련 강사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앞서 리박스쿨은 극우성향 교육단체로, 지난해부터 ‘늘봄 행복이 교실’이라는 강사 교육을 운영해왔다.

이 과정에서 관련 기관이 발급하는 민간 자격을 교육부 인가 자격처럼 홍보해 수강생을 모집했고, 수강생 일부가 댓글공작팀으로 활동하고 일부 학교에 출강한 의혹이 제기됐다.

또 리박스쿨 대표가 이사로 참여하고 있는 ‘한국늘봄교육연합회’는 서울교대와 과학 예술 프로그램을 함께 공급하기로 협약을 맺고, 이 프로그램이 올해 1학기 서울 10개 학교에 공급돼 11명의 강사가 출강한 사실이 밝혀졌다.

리박스쿨 사태가 심각해지자 교육부는 리박스쿨 관련 강사가 얼마나 활동하고 있는지, 편향된 관점의 강의나 발언이 이뤄졌는지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충청권 시도에서 문제 상황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충청권 일부 학교에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수조사로는 리박스쿨 관련 강사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나온다.

현재 전수조사는 강사가 제출한 이력서에 기록된 자격증에 의존해 진행되고 있다.

강사가 이력서에 리박스쿨 등 유관기관에서 발급받은 관련 자격증을 기재하지 않았다면 확인이 불가능한 것.

또 충청권 늘봄학교 강사는 약 1만 2000명으로, 방과후 강사 등 전수 조사 대상 규모는 훨씬 크다.

학교에선 단기간에 많은 강사의 자격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것인데, 조사 인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전의 한 늘봄실무원은 “강사가 많은 학교의 경우 강사들의 과거 이력을 다 살펴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짧은 시간에 많은 강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다 보니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늘봄학교 전반에 대한 중장기적 조사와 근절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전지부 관계자는 “늘봄학교를 졸속으로 추진하면서 자격이 없는 강사들이 채용되다 보니 리박스쿨뿐만 아니라 정치적 견해를 가진 외부 세력이 늘봄학교에 침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기간 전수조사가 아니라 면밀하게 늘봄학교 전반에 대해 살피고 근절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