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충일을 이틀 앞둔 4일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은 해군사관학교 22기 졸업생들이 해군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2025.6.4 사진=연합뉴스.
현충일을 이틀 앞둔 4일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은 해군사관학교 22기 졸업생들이 해군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2025.6.4 사진=연합뉴스.

내일은 70주년 현충일이다. 현충일은 나라를 위해 목숨까지 받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기리기 위해 국가에서 정한 기념일이다.

이번 현충일은 더욱 특별함을 지닌다. 제21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하고 첫번째 국가기념일 행사다. 여기에 70주년을 맞은 뜻깊은 날이기도 하다. 다시한번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일 민주당 대통령 후보 신분으로 페이스 북에 "국가를 위한 특별한 헌신엔 합당한 대우를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린 글들을 들여다보면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와 번영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민주열사들이 흘린 피와 땀의 결실"이라며 "국가의 기본 책무는 애국심을 명예롭게 지켜드리는 일이며 독립, 호국, 민주를 보훈의 세 축으로 삼아 인식과 처우를 개선하고 헌신에 걸맞은 예우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국가라고 할 수 없고 국가의 존립 근거조차 확립할 수 없다. 진보 보수 등 편가르기 없는 보훈이야말로 국민통합을 이루고 강한 국가로 가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최근 보훈정책을 보면 손댈 부분이 엿 보인다. 국가보훈부는 지난달 자료를 통해 지자체 고독사 예방 사업에 국가유공자가 우선 포함될 수 있도록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자체 보훈담당 공무원들은 전혀 모르는 사실이라며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하니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기준 충청지역 독거 국가유공자는 4495명. 이 가운데 고독사 위험군은 552명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숫자마저 정확하지 않다는게 현장의 이야기다. 인력의 한계로 독거 국가유공자 가운데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실태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이들이 사회의 무관심 속에 죽음을 맞이 하지 않도록 긴급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이들이 곧 대한민국이다. 이들의 예우가 제대로 이뤄질때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