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 없는 충청 민심 ‘관심집중’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3일 대전 서구 용문동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용문동 제3투표소를 찾은 주민이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2025.6.3 사진=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3일 대전 서구 용문동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용문동 제3투표소를 찾은 주민이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2025.6.3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막을 내린 동시에 지방 권력의 향방을 가를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정확히 1년 앞으로 다가왔다.

국민의힘이 승리를 거둔 지난 지방선거 이후 총선과 재보선 등을 거치며 민심의 변화가 관측됐는데, 이에 ‘현직 연임’과 ‘지방 정권 탈환’ 여부가 차기 지선의 주요 관심사로 부상할 전망이다.

3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제8회 지선에서 충청권은 국민의힘이 4개 광역단체장 자리를 모두 가져가며 전원 물갈이됐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 직후 치러진 선거로, 정권 교체 직후의 컨벤션 효과와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당시 대전은 이장우 시장이 재선에 나선 허태정 전 시장을, 세종은 최민호 시장이 3선에 도전한 이춘희 전 시장을 꺾었다.

충남에선 김태흠 지사가 양승조 전 지사를, 충북은 김영환 지사가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큰 격차로 제쳤다.

지방권력이 민주당에서 국민의힘으로 전면 재편된 것이다.

그러나 불과 2년 만인 제22대 총선에서 충청권 민심은 급변했다.

충청권 28개 지역구 중 더불어민주당이 21석을 휩쓸며 ‘정권 안정론’보다 ‘정권 심판론’이 힘을 얻었다.

대전과 세종은 모든 의석(9석)을 진보 진영이 가져갔고, 충북·충남에서도 기존 국민의힘 의석이 줄어들며 판세가 완전히 뒤집혔다.

이 같은 결과는 당시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실망감, 민생 고충, 여권 내부 갈등이 누적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총선을 기점으로 확산된 ‘심판론’은 지난 4·2 재보궐선거에서도 이어졌다.

민주당은 충남 아산시장과 대전시의원 선거를 포함해 전국적으로도 승기를 잡으며 정권 중간평가에서 우위를 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으로 시작된 탄핵정국이 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을 더욱 뚜렷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다.

이제 정가의 관심은 1년 앞으로 다가온 제9회 지선으로 쏠린다.

국민의힘 소속 현직 단체장 4명 모두 재선 도전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각 지역의 평가와 민심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국가산단 유치, 서울대 분교 유치 등 굵직한 정책으로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최민호 세종시장은 국회 세종의사당과 행정수도 완성 의제를 지속 강조해왔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김영환 충북지사 도정 혁신을 전면에 내세우며 연임 명분을 쌓는 중이다.

반면 민주당은 앞선 선거들의 승리를 바탕으로 지방권력 탈환에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각 지역마다 유력 후보군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고, 일부 지역에선 전직 단체장의 복귀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정치권에선 충청 민심이 또다시 ‘변화’를 선택할지, 아니면 ‘안정’을 택할지에 따라 전국 지방선거 판세의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선 직후 여당이 석권했던 지난 지선과 달리, 이번엔 정권 후반기의 성과와 야당의 대안 제시 능력 모두가 평가 대상이라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 결과를 보면 현직 단체장들이 결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민심이 출렁인 만큼 앞으로의 1년 동안 지역 이슈 대응과 실적 축적 여부가 결정적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