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정치권 민생회복 목소리
국론 수습 출발점… 통합 염원
박정현 "남북문제 평화로 해결"
이상민 "반대 진영 수용해야"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양극화가 극에 달한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마무리 되자 충청권 정치권에서는 ‘분열의 정치’를 멈추고 통합과 민생 회복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계엄 사태 이후 둘로 나뉜 국민 여론과 각종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이 원팀을 이뤄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2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역대 대통령들이 취임 초기 내세운 핵심 키워드들이 국정 운영의 방향타 역할을 하면서, 새정부가 내세울 구호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실용주의’를 내세우며 이념보다 국가 이익을 우선하는 국정 기조를 강조했다.
그는 한미FTA 체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남북관계 등에서 실용 외교와 경제 중심 정책을 추진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경제부흥’을 핵심 키워드로 꼽으며 ‘제2의 한강의 기적’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지니고 임기를 시작했다.
하지만 잠재성장률이 2014년 3.3%에서 2015년 2.6%로 하락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고, 이후 국정농단 사태로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중도 퇴진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당선 이후 "국민통합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히며 ‘통합’이라는 키워드를 품고 국정 운영에 나섰다.
다만 당시 정치권의 극단적 대립이 극으로 치달으면서, 정치 통합은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 주된 평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자유’를 35번 언급하면서 자유를 국가 위기 해결책으로 꼽았지만, 임기 중 정치권 갈등이 국민 갈등으로 번지며 끝내 비상계엄을 이유로 탄핵 심판을 받게 되면서 자유를 만들어내지 못한 채 퇴장했다.
지역 정치권은 이번 대선 이후를 ‘국론 수습의 출발점’으로 보고, 통합의 정치 실현을 주문하고 있다. 각 당 대전시당위원장들도 한목소리로 민생과 외교, 갈등 해소에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시당위원장은 "지금 우리나라는 경제, 외교, 국민 갈등 증폭 등 다양한 곳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가장 급한 것은 민생 경제 회복과 국민통합이며 계엄으로 훼손된 국격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나라를 바로 세우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남북문제도 평화적으로 잘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AI 혁명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은 "누가 됐든 이제는 국론 분열을 멈추고 국민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당선된 후보가 진심으로 국민을 대하고, 반대 진영의 목소리도 수용할 수 있어야 나라가 제대로 간다"고 당부했다.
권중순 개혁신당 대전시당위원장은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 바로 선거"라며 "이번 대선으로 선출된 대통령은 자신이 준비한 정책을 국가 발전과 국민 행복을 위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낙선한 후보들도 정치 지도자로서 대통령이 정책 추진에 장애물을 마주쳤을 때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여야 모두 나라를 위한다는 마음으로 움직이면 대한민국 발전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권오선 수습기자 ko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