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지원 권한 지방 이양"…'글로컬' 대학도 육성 (CG)[연합뉴스TV 제공]
"대학지원 권한 지방 이양"…'글로컬' 대학도 육성 (CG)[연합뉴스TV 제공]

‘글로컬대학30’ 2025년 사업에 충청권 20여개 대학이 지원했다. 선정되면 5년간 100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 경쟁이 치열하다. 이달 중 예비지경 결과 발표에 이어 오는 9월 대상 대학이 최종 결정된다. 충청권 대학 다수가 글로컬대학30에 선정될 수 있도록 뒷심을 발휘해야겠다. 더불어 기 지정된 세종, 천안, 당진, 홍성, 예산 등 충청권 교육국제화특구도 성과를 낼 시기가 도래했다. 때마침 당진 교육국제화특구가 교육부의 2024년 교육국제화특구 연차 평가에서 ‘매우 우수 특구’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교육부는 지난 2023년 충청권 5곳을 비롯해 부산, 대구 등 전국 12곳을 제3기 교육국제화특구로 신규 지정한 바 있다. 교육국제화특구에서는 명칭에 걸 맞는 국제화와 외국어 교육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학교 운영 자율성도 높아진다. 무엇보다 국제화 교육을 목적으로 한 학교의 설립이나 외국어 전용 마을 조성이 가능하다. 지자체 간 교육국제화특구 유치 경쟁이 치열한 이유다. 2012년 제1기 교육국제화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3기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교육국제화특구는 수도권과 광역시에 편중돼 충청권은 혜택에서 소외된 감이 없지 않았다. 후발주자이지만 타 지역이 부러워하는 성공 모델구축에 진력해야 할 줄 안다. 세종시교육청은 사업기간 내 394억원을 들여 세계시민 양성과 글로벌 교원 육성 등 23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천안 교육국제화특구는 초중고 교육과정 혁신, 대학 해외인재 유치를 특화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다시 한 번 추진계획을 꼼꼼히 점검하기 바란다.

차별화 된 맞춤형 교육으로 국제화를 선도하자. 교실을 넘어 지역사회로 효과가 파급되도록 신경 썼으면 한다. 그러려면 지자체와 교육청의 긴밀히 협조는 필수다. 특구로 지정되지 않은 도내 11개 시군이 교육국제화특구에서 거둔 과실을 공유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겠다. 현재 대구 북구, 경기 안산 등 전국 여러 곳이 교육국제화특구로 지정돼 운영 중이다. 선진지에서 배울 것이 있다면 적극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