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공주대 통합 목원대·배재대·대전과기대 연합 등 다양한 모델 도입
대전대·우송대·한남대·한밭대 단독 도전… 예비지정 신청 다음달 2일 마감

대전시, 글로컬대학 최종 TF 회의[대전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시, 글로컬대학 최종 TF 회의[대전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대전지역 8개 대학이 ‘5년간 최대 100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도전장을 던진다.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를 겪고 있는 대학에 자구책이 될 글로컬대학 지정이 올해 마무리되는 만큼, 지역 대학들도 이 사업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29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지역 8개 대학은 글로컬대학 30 선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각 대학별 TF팀의 최종 점검회의를 마쳤다.

회의 결과 충남대는 국립 공주대와 통합 유형으로 공동 지원에 나선다.

충남대는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한밭대와 함께 도전해 예비지정까지 선정됐지만 최종 지정에는 실패한 바 있다.

새롭게 손을 잡게 된 공주대와의 통합 지원이 글로컬대학 본지정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목원대, 배재대, 대전과기대는 지난해 신설된 연합 모델을 통해 재도전에 나선다.

앞서 통합 모델로 고배를 마신 목원대와 배재대는 이번에 대전과기대를 추가해 대상 범위를 확대한 만큼, 본지정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대전대, 우송대, 한남대, 한밭대는 단독 유형으로 도전장을 냈다.

특히 지난해 예비지정으로 선정됐던 한남대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다시 한번 본지정을 노린다.

한밭대는 충남대와 함께 예비지정이 됐던 경험을 바탕으로 단독 도전에 나선다.

각 대학은 교육부가 제시한 방향에 맞춰 내달 2일까지 예비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올해 교육부는 글로컬대학 지정 방향으로 ‘글로벌 역량 강화’와 ‘대학 전반의 혁신’을 제시했다.

지역 대학은 글로벌 역량 분야에서 비전을 제시해야 하고, 전반적인 체질 개선과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는 내달 중 예비지정 대학을 발표한 뒤, 오는 9월 최종 10개 이내 대학을 선정해 ‘글로컬대학 30’ 사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지역 대학 관계자는 “이번 글로컬대학 지정이 마지막 기회인 만큼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는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된 사업으로, 지역과 대학이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정된 대학은 향후 5년 동안 최대 1000억 원의 재정 지원은 물론, 규제 특례와 지자체의 투자 확대 등 행정·재정적 혜택을 받는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