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스건염 활동량 늘어 발생
부종·열감·통증 심해지면 보행장애
증상 초기 휴식 통해 만성화 막아야
스트레칭·편안한 신발로 예방 가능

도움말=유영탁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도움말=유영탁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겨우내 움츠렸던 몸을 펴고 나들이하기 좋은 봄이지만 갑작스러운 운동과 과도한 활동량으로 인해 족부 질환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대표적인 족부 질환은 바로 ‘아킬레스건염’이다.

이는 아킬레스건에 지속적으로 무리가 가해지면서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방치하면 만성 통증은 물론 심한 경우 힘줄이 끊어져 수술까지 해야 할 수 있다.

유영탁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봄철 야외 활동이나 등산 등 갑작스럽게 증가한 운동량 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다"며 "특히 발뒤꿈치에 통증을 느끼면 아킬레스건염을 의심하고 초기에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킬레스건은 종아리 근육과 발뒤꿈치를 연결하는 신체에서 가장 강한 힘줄이다.

걷거나 뛰고 점프할 때 필수적인 추진력을 제공하며, 신체 균형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아킬레스건은 반복적인 사용이나 무리한 운동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특히 갑자기 운동량을 늘렸거나 장거리 보행 후 발뒤꿈치 쪽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아킬레스건염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다.

아킬레스건염은 △50세 이상의 연령 △과체중이나 비만 △종아리 근육의 약화 △발목의 비정상적인 자세와 같은 내적 요인과 △갑작스럽거나 과도한 운동 △불편하거나 충격 흡수가 잘되지 않는 신발 착용 등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아킬레스건 주변의 뻐근한 통증, 부종, 열감이 있으며, 심한 경우 일상적인 보행조차 힘들어질 수 있다.

문제는 아킬레스건염이 치료를 받은 뒤에도 재발이 잦다는 점이다. 이는 해부학적으로 아킬레스건이 뼈와 연결되는 부위에서 위로 약 2~6㎝ 떨어진 곳에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회복이 느리기 때문이다.

유 교수는 "증상이 가볍다고 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아킬레스건에 지속적인 손상이 누적돼 만성화로 진행되기 쉽다"며 "증상 초기에 운동이나 활동량을 줄이고, 스트레칭과 얼음찜질, 소염진통제 등으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특히 운동이나 활동 중 갑작스러운 ‘뚝’하는 소리와 함께 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발목을 움직이기 어렵다면, 아킬레스건 파열일 가능성이 높아 즉시 병원을 찾아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야 한다.

전문의들은 아킬레스건염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 자신에게 편안한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탄력 있고 충격 흡수가 잘 되는 깔창과 밑창을 가진 신발은 아킬레스건의 부담을 줄여준다.

유 교수는 "뒤꿈치가 앞꿈치보다 2~3㎝ 정도 높은 신발이나 뒤꿈치에 두툼한 패드를 넣는 것도 효과적"이라며 "한 가지 신발만 계속 신는 것보다 여러 켤레를 번갈아 신어 발의 피로도를 분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령이 높아질수록 아킬레스건의 유연성과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평소 운동을 하던 사람도 봄철 갑작스러운 활동량 증가에 대비해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습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움말=유영탁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