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적 민심 드러난 재보선… 승패 단정 어려움
尹 탄핵 선고 결과따라 민심 또 다시 출렁일 수도
인용 땐 민주당 중심 조기 대선 국면 재편 가능성
기각 땐 尹 직무복귀 따른 야권 전략 수정 불가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3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의 모습. 2025.3.30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3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의 모습. 2025.3.30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탄핵 정국에 종지부를 찍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하면서 충청권 정가는 향후 민심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2일 치러진 재·보궐선거 결과는 야권으로 민심이 기울어진 양상이지만 탄핵 선고 결과에 따라 또다시 출렁일 수 있기 때문.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재보선 결과, 서울 구로구·충남 아산시·전남 담양군·경북 김천시·경남 거제시 등 5곳의 기초자치단체장 재선거에서 여당은 1곳, 야권은 4곳에서 승리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승리했던 지역 4곳 중(구로·아산·김천·거제) 김천 한 곳만 지켜냈다.

여기에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는 부산교육감 선거에서조차 진보성향 김석준 후보가 당선됐다.

충청권만 놓고 보면 이번 재보선에서 충남 2곳(아산시장1, 광역의원1), 대전 1곳(광역의원1) 등 3곳에서 선거가 실시됐는데 민주당 후보가 2곳, 국민의힘 후보가 1곳에서 당선됐다.

지난 지방선거와는 정반대의 결과다.

지역 정치권은 이러한 결과를 중도·무당층의 민심 변화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재보선의 각 선거구가 전국에 걸쳐 있었던 만큼,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각 지역 민심이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지역 유권자들이 정권 심판에 어느 정도 힘을 실어준 것으로 해석되지만, 동시에 여당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민심이 엿보인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국민의힘이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기반을 유지하고 있고, 조국혁신당의 약진 등 정치 지형 내 새로운 변수도 등장한 만큼 단편적인 승패로 해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다.

무엇보다 정국 최대 분기점인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만일 탄핵이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 정국과 함께 여권은 후속 체제 정비에 몰두하게 되고, 야권은 민주당 중심의 재편 흐름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반면 기각 시에는 대통령 직무 복귀와 함께 야권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충청권처럼 무당층 비율이 높고 진영 간 이동성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정국 전환 이후의 첫 정치적 흐름을 어떻게 읽고 선점하느냐가 향후 2026년 지방선거의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이번 선거는 정당을 떠나 탄핵 정국의 피로감과 정치 혐오가 만든 결과로 볼 수 있는 만큼, 해석은 신중해야 한다”며 “헌재 결정 이후 정치권이 민심을 되짚고, 갈라진 진영을 잇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는 4일 오전 11시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윤 대통령은 선고 기일에 불참한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3일 공지를 통해 “대통령은 내일 예정된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