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원형복원사업 현장 첫 공개
최초 건축도면 분실 어려움 속
구조·장식 등 상당 부분 보존돼
역사·정체성 담은 중요유산 평가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 공개가 열린 26일 대전 중구 은행동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건물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 공개가 열린 26일 대전 중구 은행동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건물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는 26일 '첫 대전시청사'의 원형복원사업 현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번 복원사업은 1937년 건축된 대전의 대표적 근대 건축물인 첫 대전시청사를 원형 그대로 되살리기 위한 프로젝트로, 오랜 기간 철거 위기까지 처했던 이 건물을 문화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회복하는 작업이다.

시는 민선 8기 들어 첫 대전시청사의 보존 필요성을 인식하고, 매입을 통해 복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공개된 현장은 1차 해체 공사의 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체 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됐으며, 이 과정에서 건물 내부를 덮고 있던 다양한 마감재와 설비들을 제거해 건축 당시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는 해체 작업을 통해 1937년 건축 당시의 기둥, 보, 벽체 등의 구조부재는 물론 원형창의 위치와 천장 몰딩, 궁륭형 우물반자 등 장식적 요소까지 상당 부분 보존된 상태임을 확인했다. 일부 훼손된 부분도 있었으나, 화장실과 영사실 계단 등 건물의 흔적들이 다수 남아 있어 향후 복원 작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문제는 최초의 건축도면이 분실된 상황에서 정확한 복원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에서 보관 중인 대구공회당(1931년)과 군산공회당(1934년)의 건축도면을 참고해 현재 구조와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 공회당 모두 조선총독부에서 설계한 건물로, 당시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최대한 정밀하게 원형을 되살리겠다는 방침이다.

첫 대전시청사는 일제강점기 지방 공회당 건물 중 유일하게 보존된 사례로,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건축유산이다. 당시 대전은 상공업 도시로 급성장하던 시기로, 1935년 대전이 읍에서 부로 승격된 후 대전 최초의 도시계획이 수립됐다. 이후 대전상공회의소의 설립과 함께 공예당 건물이 건립됐고, 이 건물은 문화도시로서의 대전 위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로 자리 잡았다.

시는 내달 4일과 5일 이틀 동안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공개행사를 열고, 복원사업의 현황과 계획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 5월에는 국내외 저명 건축사들을 초청하여 첫 대전시청사의 보존과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복원된 건축물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은 5월에 완료될 건축기획용역 결과를 통해 청사진이 제시될 예정이다. 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건물을 대전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첫 대전시청사는 대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은 건물일 뿐 아니라 조선인 상공업자들이 중심이 되어 세운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며 “이번 원형 복원사업을 통해 대전 시민 모두가 자부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는 대표 공간으로 되살리겠다”고 강조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