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정책포럼서 국가적 차원 공감대 형성 촉구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25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열린 ‘문화 정책포럼 2025’에서 대전과 충남의 행정 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닌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도전”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문화일보와 성일종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을 비롯한 지방행정 및 균형발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포럼은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 시장은 대전충남특별시(가칭) 구상과 비전을 설명하며 국가적 차원의 공감대 형성을 촉구했다.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의 역사를 언급하며, 대전이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을 시작해 대한민국 과학 수도로 자리잡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 문제로 인해 대전과 충남이 더 이상 분리된 상태로 생존과 도약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또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이 경제, 과학, 행정이 밀접하게 연결된 생활권이라며, 이를 제도적으로 통합해 행정, 재정, 산업의 연계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통합을 통해 예산권, 조직 및 인사권의 권한 이양을 추진하고, 지방을 준연방정부 수준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대전과 충남이 통합되면 인구 357만 명, 지역내총생산(GRDP) 197조 원으로 국내 3위 규모의 메가시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부산시보다 큰 규모이며, 유럽 기준으로 인구 32위, GRDP 23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 시장은 대전의 과학기술 역량과 충남의 산업 인프라를 결합해 대한민국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특히 ‘ABCD+QR’(인공지능, 바이오, 탄소중립, 국방 + 양자, 로봇)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특별시를 국가 전략산업의 융복합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특별시 내 균형발전을 위해 대전권, 북부권, 서부권으로 나누는 트라이앵글식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중심도시와 인근 시·군을 광역 생활·경제권으로 구축해 다극 체제를 형성하고, 광역 교통망 구축과 권역별 산업 전략 추진, 주민 밀착형 생활 기반 시설 설치 등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국가 전략이며,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시민과 함께 이 도전을 현실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