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초 사건 이후 교직 이탈 막기 나서
멘토 교사 매칭 방식 업무 과중 우려감
이탈 원인 복합적…적응부족 접근 안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전·세종시교육청이 신학기 수습교사제 시범도입을 앞둔 가운데 여전히 실효성이 우려되고 있다.
저연차 교원의 교직 이탈을 막기 위해 사전 적응력을 높이겠단 취지인데 단순 접근이라는 지적이 크다.
교육부는 신규교원 역량 강화 차원에서 내달부터 오는 8월까지 대전, 세종, 경기, 경북교육청에 관련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2025학년도 초등교사 신규임용 대기자 중 희망인원을 수습교사로 한시 채용해 학교현장의 적응 및 전문성 개발을 사전에 돕겠다는 것.
그도 그럴 것이 최근 저연차 교사들의 사직러시가 계속되며 교직이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실제 지난 2018~2024년 총 512명의 충청권 교원이 정년을 채우지 않고 중도에 의원면직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모두 교단에 선지 5년도 채 안된 저연차 교사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총 42명의 임용대기자들이 지원했고 현재 20개 초등학교에 1명씩 배치된 상황이다.
세종시교육청은 10명 정원에 2명 미달된 8명이 신청, 총 6개 초등학교에서 활동한다.
대전·세종 모두 고경력 교사 및 수석교사를 지도교사로 지정해 교수학습 및 교육활동 등을 지원, 지도한다.
하지만 1대 1로 멘토 교사를 매칭하는 방식이라 향후 전면 도입 시 기존 교원에겐 또 다른 업무 부담이 될 수 있다.
학교 업무의 총량은 그대로인데 고경력 교사나 수석교사가 수습교사의 멘토로 투입될 경우 현장 교원들의 업무만 과다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원 업무 부담은 결국 수습교사에 대한 지도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각에선 교직이탈의 원인을 단순히 신규교원의 적응 부족으로만 접근해선 안 된다는 의견이 있다.
교직이탈 현상은 처우나 도서지역 발령, 타 지역 임용고시 재도전, 교권 추락, 직업 만족도, 악성민원, 세대교체 등 보다 다각적이고 종합적으로 들여다봐야 하는 사안이다.
오히려 수습교사제가 교사의 능력 부족을 부각해 저연차 교사들에 대한 민원을 부추길 수 있다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수습교사에 대한 처우 보장 여부 역시 아직은 미지수다.
교육부는 시범운영기간 한시적 정원 외 기간제교사로 배치한 후, 전면 도입 시 법령 개정을 통해 신분을 보장하겠다고 하지만 결코 녹록지 않은 작업이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신학기가 시작되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어려움은 없는지, 제대로 잘 시행되고 있는지 점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