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취소 사유 1위 ‘특구 외 이전’
취소기업 3분의 1 대덕특구 이탈
특구 정주·기업환경 개선 등 필요

대덕특구[촬영 김준호] 사진=연합뉴스. 
대덕특구[촬영 김준호]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경기 불황이 연구소기업의 연구개발특구 이탈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연구소기업의 탈 특구는 지역 산업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특구 배후지역 보강으로 이들 기업이 지역 바깥으로까지 떠나는 건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23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주소지를 특구 밖으로 옮겨 등록취소된 전국 연구소기업은 2020~2024년 5년 간 238곳에 달한다.

특구 외 이전은 이 기간 연구소기업 등록취소 사유 1위로, 전체 614곳의 등록취소 중 38.8%에 육박하는 규모다.

특구를 떠난 전국 연구소기업은 2022년 32곳, 이듬해 58곳, 지난해 71곳으로 매년 늘고 있다.

특히 5년간 특구 외 이전으로 등록취소된 연구소기업의 3분의1은 대덕특구(80곳)에 집중됐다.

연구개발특구 육성 특별법에 따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의 공공기술을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은 반드시 특구 안에만 위치해야 한다.

통상 연구소기업의 특구 외 이전은 기업이 수익 창출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는 공공기술 사업화에 성공하고 더욱 성장하기 위해 졸업하는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영난과 정부의 R&D 예산 삭감의 여파로 운영이 어려워지며 생존에 더 나은 환경을 찾아 특구에서 나오는 연구소기업도 적지 않다는 것이 과학기술계의 설명이다.

육준우 에트리홀딩스 창업투자지원실장은 “예산 감소에 따른 경영 어려움을 호소하는 연구소기업이 최근 2년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며 “자금, 기술개발 지원 혜택 등을 이유로 본점 소재지를 옮길 수밖에 없는 나름의 사정이 있는 기업이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소기업이 성장의 결과로 특구 바깥으로 이동하는 것에도 국가적, 지역적 관점의 양면성이 존재한다.

공공기술을 사업화한 연구소기업이 전국으로 뻗어나가는 것은 국가적 차원에서 긍정적이면서도, 특구가 위치한 지역 입장에선 우량기업이 이탈해 지역 산업계에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연구소기업도 결국 시장 논리를 따르는 기업인 만큼, 이들을 지역에 붙잡으려면 특구 배후지역을 개발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홍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경제혁신사업부장은 “기업이 임계규모 이상 커져 인프라가 좋은 지역으로 이전하는 경향은 대전의 정주여건과 기업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정호 연구소기업협회 부회장은 “기술기반 연구소기업이 사업화를 위해 더 큰 부지가 필요한데 평당 가격이 안 맞으니 떠나는 경우도 있다”며 “특구에서 반경을 설정해 배후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은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종현 충남대 기술지주회사 투자지원부장은 “성장한 연구소기업이 대전에 정착하고 관련 산업군의 대어들도 대전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정주여건 개선과 인프라 확충 등에서 획기적인 수준으로 타 지역과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