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예산 편성… 맞춤형 지원책 추진
대전시, 임대료 30만→60만원 지원
충남도, 온누리상품권 환급헤택 확대
충북도, 정책자금 4660억원 조기집행
[충청투데이 김영재·박현석·이심건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 충북도가 민생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상공인 지원에 나섰다.
각 광역자치단체는 자금 지원과 경영 안정화를 위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 상반기에 자금을 집중적으로 집행하며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1일 민생경제 지원 시정 브리핑에서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같은 날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시·군 단체장들과 함께 소상공인 경영 회복 지원 방안을 내놓았다.
충북도 역시 충북신용보증재단 및 NH농협은행 충북본부와 함께 소상공인 금융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상반기 466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조기 집행하기로 했다.
세 지역의 지원 정책 중 공통적으로 시행되는 방안은 경영비용 직접 지원과 초저금리 특별자금 확대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연 매출 1억원 미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업체당 50만원의 경영비를 지원한다.
대전시는 추경 예산을 통해 3월 말까지 지급을 완료할 예정이며, 충남도는 575억원의 긴급 예산을 편성해 내달부터 지원금을 지급한다.
충북도는 소상공인 육성자금 1200억원 중 840억원을 상반기에 집중적으로 집행하며, 경영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들의 유동성을 신속히 지원할 계획이다.
대전은 초저금리 특별자금 규모를 지난해 4000억 원에서 올해 6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대출 한도를 업체당 5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상향했다. 충남도 역시 충남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자금을 운용하며, 대출 연체율 관리를 강화하고 저금리 정책을 유지할 방침이다.
충북도는 중소기업육성자금 3950억원 중 3820억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고, 가족친화기업 특별자금을 전년 대비 40억원 늘린 70억원으로 확대했다. 창업 및 경쟁력 강화 자금은 신청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소상공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대전, 충남, 충북은 지역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지원책도 추진 중이다. 대전시는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덜기 위해 임대료 지원을 기존 30만원에서 60만원으로 확대하고, 신규 채용한 근로자에게는 최대 150만원의 인건비를 지원한다.
전국 최초로 시행되는 카드 결제 통신비 지원 정책은 소상공인들에게 최대 11만원을 지원한다. 충남도는 시·군과 함께 지역사랑상품권을 활성화하고, 온누리상품권 환급 혜택을 확대하면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판로를 다각화하고 있다. 충북도는 인구 감소 지역인 제천, 보은, 옥천 등 6개 지역의 기업에 금리 우대를 신설하고,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해 경제 활력을 높일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과 온라인 판로 확대도 세 지역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전은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라이브대전장터’를 활용한 실시간 방송 판매와 대형 e커머스의 대전 특화 홍보관 개설로 소상공인들의 제품을 전국에 홍보할 방침이다. 충북도는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와 상점가 방문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신규 지원 사업을 추경에 포함해 민생경제 회복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소상공인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촘촘한 지원 정책을 통해 지역 경제의 불씨를 되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지사 역시 "이번 지원책이 영세 소상공인들의 생존을 돕고, 나아가 민생경제 안정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