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대통령 망신주기… 정치적·법적 책임 묻겠다”
민주 “헌정질서 회복 첫걸음… 정의 살아있음 확인”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헌정 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수사기관에 체포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여야 정치권은 엇갈린 반응을 내놓으며 신경전을 예고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공수처가 불법 영장을 집행했다며 책임을 묻겠다고 나섰고 더불어민주당은 헌정질서 회복의 첫걸음이라며 구속 수사를 촉구했다.
조국혁신당은 비상계엄 40여일만의 체포를 두고 ‘만시지탄’이라고 지적하면서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출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15일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해 신병을 확보하자 “불법 영장을 집행한 공수처에 정치적,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이 불미스러운 사태를 막기 위해 불법적 체포영장 집행임에도 큰 결단을 내렸다"면서 "대통령이 체포됐다고 해서 불법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권 비대위원장은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와 위법 소지가 다분한 체포영장을 발부한 서울서부지법, 더불어민주당과 내통한 경찰이 만든 비극의 삼중주"라며 "불법 영장 집행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체포를 고집했던 이유는 대통령 망신 주기가 목적이었다”며 “진실규명보다 현직 대통령을 체포해 자신들의 존재감을 키워보겠다는 속셈"이라고 비난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민 보기 부끄럽고 국격은 무너졌다. 공수처와 경찰이 부당하고 불법적인 영장을 집행했고 사법부가 불법 영장 집행에 가담했다"면서 "야당이 공수처와 국수본을 겁박한 것은 역사가 반드시 기록할 것"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반면 야권은 오히려 윤 대통령 체포가 늦은감이 있다면서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 회복, 법치 실현을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 12·3 내란이 발발한 지 44일, 탄핵안이 가결된 지 33일만으로 많이 늦었지만 대한민국 공권력과 정의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돼 참으로 다행"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수처는 윤석열을 구속 수사해 전모를 낱낱이 밝히고 책임을 엄정히 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표는 윤 대통령 체포와 관련해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민생경제 회복을 강조했따.
이 대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이제 신속하게 헌정 질서를 회복하고 민생과 경제에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은 한 발 더 나아가 김건희 여사의 체포 및 출국금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은 “만시지탄이지만 다행"이라면서 "이제 정의 구현의 시간이 돼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혁신당은 또 “후속 조치를 확실히 해야 한다”면서 “무엇보다 윤석열 국정농단의 한 축인 김건희에 대한 수사도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법무부는 즉시 김건희를 출국금지하고 수사기관은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