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위원회, 시 조직개편안 보류로 정기인사·시정운영 우려↑

텅빈 천안시의회 긴급의원총회장 모습. 김행금 의장이 소집한 긴급의원총회가 열린 19일 의회 대회의실에 의원들이 대거 불참했다. 사진=이재범 기자.
텅빈 천안시의회 긴급의원총회장 모습. 김행금 의장이 소집한 긴급의원총회가 열린 19일 의회 대회의실에 의원들이 대거 불참했다. 사진=이재범 기자.

[충청투데이 이재범 기자] 천안시가 계획한 내부 행정 조직개편안이 시의회 문턱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국장급 2명 승진을 비롯한 천안시 연말 정기인사가 크게 차질을 빚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상황을 원만히 수습하기 위해 시의회 의장이 소집한 긴급 의원총회마저 여당인 국민의힘 의원 대부분이 불참(보이콧), 파행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천안시의회는 19일 오전 의회 대회의실에서 긴급의원총회를 가졌다. 이날 긴급 의총은 전날 경제산업위원회(경산위)가 천안시 조직개편안을 장시간에 걸친 심의 끝에 보류시키자 사태 해결을 위해 김행금 의장이 직접 소집한 것이다.

전날 경산위 의원들은 행정부가 제출한 ‘천안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해 몇 개월 만에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함께 내년 조직 진단 후 추진해도 된다는 등의 이유로 보류를 결정했다.

이 조례안은 현재 ‘6국 42과’ 체제를 ‘8국 45과’로 증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례안에 따라 현재의 ‘기획경제국’이 기획조정실과 전략산업국으로 나뉘고, ‘복지문화국’도 복지정책국과 문화체육국으로 나뉠 예정이었다.

경산위 소속 복아영 의원은 의총에서 “기본적으로 6개월 만에 이렇게 좀 크게 조직이 변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사실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지난 7월 1일자 조직개편을 통해 ‘건설교통국’을 건설안전교통국과 도시주택국으로 분국 시킨 바 있다.

일반적으로 상임위가 부결한 안건은 의장이 직권으로 본회의에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보류 안건은 차기 회의에서 논의하고 결론을 내릴 때까지 해당 상임위에 계류된다.

경산위의 보류 결정으로 천안시의 정기인사를 비롯한 향후 시정 운영 방향이 크게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상황에 놓인 셈이다.

급기야 김행금 의장은 전날 밤 긴급 의총을 소집하기에 이른다. 전체 의원들을 대상으로 그간의 경과를 듣고 현재의 상황을 설명한 뒤 빠른 안건 처리를 당부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혔다. 일각에서는 긴급 의총 배경에 의장이 직권상정에 대한 의원들의 동의를 얻거나 관련된 명분을 쌓으려는 것 아니겠냐는 추측이 나왔다.

그러나 이날 의총에는 27명의 의원 중 단 11명만이 참석했다. 국민의힘 소속 2명 의원이 의총 초반 참석했다가 이내 자리를 떠났다. 결국 의장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7명, 무소속 1명 등 9명이 모인 가운데 의총이 진행됐다.

의총에서는 경산위 안건 심의가 있기 며칠 전 상임위원장들끼리 모여 조직개편과 관련해 특정 부서의 소관 상임위 조정을 사전에 논의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논의 자리에는 의장과 부의장이 배제돼 ‘패싱’ 논란까지 일었다. 결과적으로 이날 의총에서는 “해당 상임위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

의총에 참석한 시청 A 국장은 안건 보류에 따른 파장을 묻는 질문에 “(파장은) 엄청나다. 공무원이 일을 잘해야만이 시민의 삶이 편해지고 시민의 경제가 좋아진다”며 “조직을 분국 해서 각각의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하고 그래서 결국은 그게 시민한테 돌아오는 것이다. 조직 개편이 늦어지면 그러한 것들이 늦어질 거라고 확신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천안시의회는 20일 오전 제274회 제2차 정례회 마지막 본회의를 열 계획이다. 기초자치단체의 조직 개편안이 의회에서 제동이 걸리는 사례가 만들어질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범 기자 news780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