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생존 이끌 글로컬대학 사업
대학 혁신만큼 지자체 협조 중요
전략 수립·중재에도 적극 나서야

2023~2024년 지역별 글로컬대학 본지정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2023~2024년 지역별 글로컬대학 본지정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충남대와 국립공주대의 통합이 내년 글로컬대학30 본지정을 이루기 위해선 두 대학과 함께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앞으로 남은 글로컬대학 자리가 10개에 불과한 만큼 대전시와 충남도가 지역의 고등교육 거점을 세우는 일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글로컬대학은 정부 입장에선 고등교육 혁신을 이끌 대학을 선별하는 사업일지 몰라도, 지역 입장에선 지역의 생존을 이끌 인재 양성 요람을 확보하는 과업이다.

앞서 2023~2024년 본지정된 글로컬대학의 상당수가 단순한 대학 내부 혁신을 넘어 지역 산업과 연계한 전략을 내세웠던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올해 본지정한 충남의 건양대도 소재지인 논산의 국방산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하는 혁신안을 꺼냈다.

지역산업과 연계한 대학의 혁신 전략이 효과적이려면 관할 지자체의 협조가 뒷받침돼야 한다.

전략의 혁신성과 함께 현실성도 따지는 교육부 입장에선 지자체가 대학의 전략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관여하고 있는지 만큼이나 좋은 지표는 없다는 것이 교육계의 설명이다.

충청권의 한 교육계 인사는 “지자체가 먼저 아이디어를 던지고 이를 실행하겠다는 대학에 별도의 지방비를 매칭하는 등 적극 지원해 본지정된 모델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내년 글로컬대학 사업에 공동 신청하는 충남대-공주대 통합 모델에도 대전시와 충남도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통합 모델은 대학 간 갈등으로 추진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의 적절한 관여가 요구된다.

실제 충청권은 2023~2024년 통합을 추진했던 충남대, 한밭대가 내부 반발과 갈등 끝에 결국 지난 8월 결별하는 것을 경험하기도 했다.

올해 예비지정까지 오른 충남대-한밭대 통합 모델이었지만, 지난 8월 한밭대가 대면평가를 거부한 데 이어 대전시도 평가 당일 불참하며 허무하게 탈락했다.

당시 지역사회에선 대전시가 더욱 적극적으로 충남대와 한밭대 사이에서 중재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대학 통합을 교육기관 간 문제로만 치부하기에는 앞으로 남은 글로컬대학 자리가 몇 안 된다.

내년과 2026년까지 단 10개 모델만 추가 본지정될 예정인 가운데, 충청권은 현재까지 전국 33개 글로컬대학(20개 모델) 중 4개(3개 모델)밖에 확보하지 못했다.

또 다른 충청권 교육계 인사는 “지역 교육거점인 글로컬대학을 딸 기회가 얼마 안 남았다”며 “앞선 충남대-한밭대 통합 결렬을 반면교사 삼아 내년 충남대-공주대 통합에는 지자체도 혁신 전략 수립부터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충남도 관계자는 “충남대, 공주대 통합 관련해 안내받지 못했고 논의에도 참여하지 못했다”며 “추후 글로컬대학 공모가 나오면 그때 논의할 듯하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