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52% 활동지원사 200명 보유
광역자치단체·농어촌 근무 여건 열악
활동지원 원활하지 않아 지원자 적어
장애인 돌봄 공백 없도록 대책 마련必

장애인. 아이클릭아트 제공. 
장애인. 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지역소멸 위기로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들의 활동지원서비스도 지역별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역시 등 대도시와 비교해 충남과 같은 시군, 읍면지역의 외진 지역은 장애인의 신체적 활동, 가사활동, 사회활동 등을 지원하는 장애활동지원사가 부족한 탓에 장애인들의 소외감, 돌봄 공백 우려가 제기된다.

21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장애인 돌봄 사업 평가’에 따르면 충남지역에서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는 7152명(1월 기준, 보건복지부)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활동을 보조해주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4668명으로 수급자 대비 활동지원사 수는 0.65명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강원(0.60명)에 이어 제주(0.65명)와 함께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반면 대전(0.95명), 부산(0.83명), 서울(0.79명), 인천(0.78명), 대구(0.77명) 등 특·광역시의 수급자대비 활동지원사 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별 편차는 충남이나 강원과 같은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특·광역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적 범위가 넓고, 인구밀도는 낮은 탓에 활동지원사가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등 활동지원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는 게 국회예산정책처의 설명이다.

국가 지원사업인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처우는 전국적으로 동일하지만 농어촌 지역은 이동거리 등 활동지원사들의 근무여건이 열악한 탓에 서비스 공백이 우려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조사에 의하면 200명 이상의 활동지원사를 보유한 곳의 비율은 대도시 52.8%, 중소도시는 50%인 반면 농어촌과 산간 지역은 30명 미만의 활동지원사를 보유한 곳이 43.3%에 이르는 등 대도시와 농어촌·산간지역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지역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농어촌 지역 등은 서비스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활동지원자 수의 편차가 발생하는 여러 복합적 요인이 있을 것"이라며 "장애인 돌봄 서비스 등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원인을 파악해 대책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