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 가격 내년 상승폭 2%로 둔화 전망
수요 위축·원자재 가격 안정화 주요 원인
정부의 수급조절·가격관리 필요성 커져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대한건설정책연구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등 건설산업 분야 연구기관에서는 그동안 가팔랐던 건설자재가격의 상승폭이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사비지수는 2000년부터 연평균 5~6% 정도 상승했는데 올해는 건설 수요가 줄어서 2% 정도, 내년도 2% 안팎의 상승으로 상승세가 안정화될 것이라 본다"며 "수요 자체가 위축되다 보니 대외적으로 수입하는 유가, 원자재 가격 변동이 없다면 1~2%까지 둔화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같은 경우 자재비의 경우 작년 대비 감소했고 비금속자재 및 금소자재도 큰 폭의 상승요인은 없다"며 "다만 레미콘의 경우 시멘트와 마찬가지로 전기세, 환경설비, 인건비 부담이 늘어 이런 부분에 대한 조율이 필요하겠으나 수요가 크지 않다 보니 상승여지는 낮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실장도 "현재 건설자재가격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오르진 않은 편"이라며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내년엔 3~4% 정도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자재의 경우 주입자재가 많아 환율이 더 오른다면 자재가격 상승요인이 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자재생산을 위한 친환경 설비 조성 비용 등이 자재원가를 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건설자재가격 및 수급의 안정화를 위해선 정부의 적절한 수급조절이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자재비 상승은 불가피하겠지만 수급불균형에 따른 품귀현상이나 가격 상승은 정부 차원의 컨트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3기 신도시, 가덕도 신공항 등의 대형공사가 추진될 경우 갑작스럽게 수요가 늘어나며 건설자재수급의 불안정이 생길 수 있다"며 "현재 업체들의 가격, 월단위 재고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업체들이 주먹구구식으로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선구 실장도 "가격관리의 부분은 민간의 영역으로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지만 수급불균형에 대해선 정부가 컨트롤 가능한 부분"이라며 "자재수요가 쏠리는 시기나 대형공사에 따른 자재 품귀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수급안정화에 정부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시멘트 수입 등 방안도 고려하고 있으나 자재의 특성상 국내 유통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한계가 있어 실효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