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건설업 한파가 계속되면서 경제 전반으로 침체 위기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특히 뿌리산업 등 기초 제조업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충청권은 경기 침체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한국은행 총재가 나서 경기침체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현재 건설업과 자영업 등에 대해 부분적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만큼 가계부채 문제 등 종합적인 변수를 고려한 선제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이미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건설경기 부진은 당분간 반전 기회를 만들지 못하고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충청권의 경우 이미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것이 각종 통계 수치에서 나타나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자재비와 인건비 등 원가상승 영향으로 폐업한 충청권 건설업체가 무려 100곳이 넘는다.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부동산 경기 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 발주 감소 등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건설경기가 나쁘지 않았던 2021년 폐업신고가 19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심각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줄어든 발주 물량조차 대부분 자본력과 경쟁력을 갖춘 대형건설사들의 차지가 되면서 지역 건설사들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2분기 충청권 권역내 수주액 중 3분의 1을 타 지역 건설사가 차지하면서 지역 건설사의 입지는 더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향후 시장상황을 보여주는 건설수주 규모도 2년간 30% 감소해 당장 내년과 그 이듬해도 한파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건설업 부양을 위한 마중물로 각종 법안을 내놓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세수 부족으로 인한 긴축재정 기조도 지역 건설업계로선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건설업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증애기 필수적인데 내년 SOC 예산은 오히려 3.6% 감액 편성됐다. 내년도 공공부문 발주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셈이다. 건설업 부진은 제조업 부진으로 이어지고 일자리 감소와 가계소득 감소로 이어져 경제 전반을 얼어붙게 만든다. 예산 조기 집행과 발주를 통한 부양책 등 선제적인 대비가 절실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