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국회의원 28명, 11개 상임위 배치
정쟁 속 지역 현안 이슈화로 존재감 내세워야

제22대 국회 상임위원회 별 충청권 의원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제22대 국회 상임위원회 별 충청권 의원 현황.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국회의 가장 중요한 일정 중 하나로 꼽히는 정기 국회의 ‘국정감사’가 시작되면서, 충청권 국회의원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정 전반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통해 국회의원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인 만큼, 각 의원들이 얼마나 정책적인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특히 이번 국정감사는 제22대 국회에서 첫 번째로 열리는 국감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지역 유권자들에게 정치적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권 안팎에선 충청권 현안이 이번 국감에서 충분히 부각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여야 간의 극한 대립 속에서 지역의 주요 사안들이 묻혀버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정감사 기간 동안 충청권 이슈를 적극적으로 다뤄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무대가 여의치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여야가 각종 정치적 쟁점을 둘러싸고 정쟁을 벌일 가능성이 높아, 충청권 현안이 자칫 파묻힐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22대 국회 첫 국감에서 충청권 의원들이 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산하기관을 상대로 지역 이슈를 적극적으로 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여야 간 대립이 격화되면서, 국정감사가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정쟁의 연장선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선 이번 국감이 여야의 정쟁 무대가 될 것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중심으로 증인 채택을 요구하며 공세를 예고했고,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이를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 방어’로 규정하며 반격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대립은 국정감사가 본연의 역할인 정부 정책 감시와 견제보다는 여야 간의 정치적 공방에 치우칠 것이란 우려를 키우고 있다.

충청권 의원들이 이러한 정쟁 속에서 지역 현안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룰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재 대전, 세종, 충북, 충남을 지역구로 둔 충청권 국회의원 28명은 총 14개 상임위원회 중 11곳에 배치돼 있다.

이중에서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는 6명, 정무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에는 충청권 국회의원이 각각 5명씩 속해 있어 다른 상임위 대비 많은 수준이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여야의 소모적인 정치 공방이 충청권의 중요한 현안을 가로막는 상황에서 국정감사가 국회의원 본연의 역할을 되찾는 자리가 될 수 있을지, 충청권 의원들이 지역 유권자들에게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지가 국감의 성패를 가를 핵심이 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