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문고 폐업 후폭풍]
3개월째 임대료 납부 못해 끝내 폐업
市 적극 개입해 감면 등 대안 제시했어야
성심당 대전역 입찰 문제와 상반된 모습
올해 지역서점 예산 전액 삭감 비난 커져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계룡문고 폐업으로 대전 향토서점의 명맥이 끊기자 대전시에 비난의 화살이 쏠리고 있다.
마지막 남은 향토서점을 지키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노력과 관심이 매우 부족했다며 지역서점 홀대 비판이 커지는 분위기다.
계룡문고 폐업에 대전시가 비판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임대료’ 문제 때문이다.
앞서 2022년 계룡문고는 임대료를 지급하지 못해 임대기관이었던 대전테크노파크로부터 건물명도소송에 휘말린 바 있다.
최근까지도 계룡문고는 대전테크노파크에 임대료를 납부하지 못해 재산압류 통지까지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끝내 임대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폐업까지 가자 지역 대표 향토서점에 대한 대전시의 배려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대전시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임대료 감면, 유예 등의 대안을 충분히 제시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대전시는 성심당 대전역 입찰 문제에는 두 발 벗고 나서며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성심당과 코레일 유통과의 역사 내 월세 논란에 이장우 대전시장은 수수료 규제를 융통성 있게 완화하라며 지역기업에 힘을 실어준 바 있다.
그 결과 성심당은 대전역에 결국 잔류하게 되며 계룡문고 폐업과는 상당히 대비되는 상황이 연출됐다.
올해 지역서점 관련 예산 전액 삭감 역시 강한 비난을 받고 있는 대목이다.
0시축제 등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분야에는 적극적 예산 편성과 운영이 이뤄지는 것과 달리 무형적이면서 지적 자산과 관련된 분야에는 무심한 실정이다.
해당 사업은 지역서점을 대상으로 시설개선, 북콘서트 등 문화행사, 서점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컨설팅을 지원하는 내용이었는데 관련 예산이 2022년 4억원에서 2023년 1억 3000만원으로 줄었고 올해는 이마저 전액 삭감됐다.
최근 ㈔희망의책대전본부의 내년도 보조금 또한 전액 삭감 조짐을 보이며 대전시 독서 정책이 후퇴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시는 지역서점인증제와 함께 내달 ‘2024 대전 북(Book) 페어’를 신규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실효성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강신철 희망의 책 대전본부 이사장은 “계룡문고의 경영난과 폐업은 복합적인 문제겠지만 대전시의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폐업이라는 극단적 상황까진 가지 않았을 것”이라며 “비단 계룡문고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같은 무관심이 지속된다면 지역 서점은 앞으로 계속 사라져갈 것”이라고 규탄했다.
이에 대전시는 한정된 재정여건 속 계룡문고와 같은 부채가 있는 사기업 구제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노기수 대전시 문화관광국장은 “계룡문고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미 임대료 연체와 법정 조정까지 진행돼 시에서 조치할 수 있는 여지가 없었다”며 “지역 서점 지원사업 역시 내년 문체부 예산을 통한 서점 지원 공모 사업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