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대책 마련 촉구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질병 예방 및 조기 발견을 통한 국민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시행 중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이 지역별·연령별·소득분위별로 편차가 커 저조한 집단의 수검률 향상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장종태(대전 서구갑)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로부터 제출받은 ‘일반건강검진 수검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연도별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코로나 19 감염이 시작됐던 2020년을 제외하면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최근 5년간 세종시와 울산시, 대전시의 수검률이 높았는데 특히 세종시는 유일하게 수검률 80%를 넘었다.
반면 수검률이 가장 낮은 제주는 72.2%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40대와 50대가 80% 전후의 높은 수검률을 보인 반면 80대 이상의 수검률은 40%대에 그쳤다.
소득분위별로는 가장 낮은 수검률을 기록한 소득분위는 1분위로 5년 내내 60%대를 벗어나지 못했고 2분위 역시 낮은 수검률을 기록하는 등 대체로 저소득층의 수검률이 낮게 나타났다.
장종태 의원은 “국가와 지자체는 가능한 많은 국민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면서 “특정 지역, 특정 연령대, 특정 소득수준의 집단이 건강검진을 받지 않는다면 각각의 이유를 파악해 대책을 세우는 것이 국가와 지자체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