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노인성 질환 치료 선도물질 제시

IU1 약물 처리 시 초파리 근육 내 잠재독성단백질체 감소. 한국연구재단 제공
IU1 약물 처리 시 초파리 근육 내 잠재독성단백질체 감소. 한국연구재단 제공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존에 알려진 약물에서 새로운 항노화 효과를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중앙대학교 현서강 교수 연구팀과 DGIST 이병훈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약물을 이용한 특정 효소 활성 저해가 세포 내 단백질 항상성 강화, 노화에 따른 근력 약화 개선 및 개체 수명 연장 효과를 일으키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단백질 항상성 감소는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로 세포에 해로운 단백질 응집체가 제대로 분해되지 못했을 때 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노화가 빨라진다.

연구팀은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조절하는 약물이 자가포식 현상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중요한 장치다.

‘IU1’라 불리는 약물로, 프로테아좀 복합체 구성요소인 USP14의 활성을 저해할 경우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하는 프로테아좀이 활성화됐다.

또 자가포식 현상이 동시에 향상되는 걸 발견하고, 이런 자가포식 활성 촉진에 프로테아좀 활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도 밝혔다.

IU1 약물의 작용기전은 인간세포 뿐만 아니라 초파리 동물모델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됐으며, 초파리의 수명 연장 및 노화에 따른 근력 약화도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현서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항노화를 비롯한 다양한 노인성 질환 치료 기술 개발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