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노동시장 냉각에 인하 시사
부동산 업계 국내 기준금리 인하 기대
전문가 “내수시장 활성화 위해 내려야”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시장 상승세, 가계부채 증가 등에 대한 우려로 국내 기준금리의 동결이 1년 8개월 차에 접어들고 있다.
국내 기준금리 인하의 선행조건 중 하나인 미국의 기준금리가 ‘9월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이와 연동된 국내 기준금리의 인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는 지난달 31일 진행된 (현지시각 기준) FOMC에서 여덟 번째 기준금리 동결(5.25~5.50%)과 함께 9월 FOMC에서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인플레이션 둔화, 노동시장의 냉각 등으로 등을 고려한 금리인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다.
이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는 논의할 수 있다"며 "경제가 기준금리를 낮추기에 적절한 지점에 접근하고 있다는 게 FOMC의 대체적인 인식"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면서 국내 기준금리의 인하 가능성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지난달 11일 진행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열두 번째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날 진행된 회의에서 금통위원들은 가계대출 증가세, 수도권 주택시장의 상승세 등에 따른 금융안정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공감대를 보였다.
한 금통위원은 "금리인하가 경제의 구조조정 노력을 되돌리거나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을 촉발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주택 관련 대출 중심의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한 우려를 밝히기도 했다.
실제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1월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가계대출의 증가폭은 전월 대비 6조 1000억 원 수준이었다.
그동안 구호에 그쳤던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의 가시화가 예고되면서 지역 부동산업계에서는 국내 기준금리의 인하를 통한 부동산 경기의 반등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하는 매수심리가 살아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요인이 될 것"이라며 "침체된 시장의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문가도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금리인하의 필요성 언급하며 미국 금리인하에 따른 국내 기준금리의 인하에 무게를 실었다.
조복현 한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내수부진 등의 영향으로 금리인하를 고려해야 될 상황"이라며 "미국의 금리 인하 시 지금의 금리 격차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본유출 등에 대한 우려 없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어 국내 기준금리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리가 낮아진다면 투자, 소비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미쳐 내수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전과 같이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도시는 소비에 숨통이 트이며 경기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