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시에 적극 해결 촉구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대전·충남지역 보건의료산업 노동자들이 정부와 대전시에게 경영 위기에 놓인 충남대학교병원의 정상화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29일 오전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는 충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원의 경영 위기로 환자 안전과 노동자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정부를 비롯한 시와 병원은 책임 있는 진료 정상화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기자회견문에서 “국립대를 필수 의료 중추로 키우겠다는 정부 계획과는 다르게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며 “국립대 병원 대부분이 차입경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의정 사태 이후로는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수백 명 전공의 공백을 메우려고 전문의 한두 명에게 지원하는 인건비로는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 생색내기 건강보험 선지급만으로 병원 정상화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충남대병원이 세종충남대병원 건립과 운영 등을 위해 금융권으로부터 차입한 금액은 4200억원대에 달한다.
충남대병원은 현재 차입금 중 마이너스 통장에 400억원 정도만 남아있어 현 상황대로라면 2개월 내 소진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적 부담과 함께 발생한 전공의 이탈이 병원 수입 감소로 이어지면서 현재까지 매달 100억원~150억원대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의정갈등으로 노동자들은 무급휴가에 이어 희망퇴직과 임금 체불까지 걱정해야 한다”며 “정책을 추진하면서 생기는 문제와 책임은 정부의 몫”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은하 충남대병원 지부장은 “의사들의 빈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보건의료 노동자들에게 실질적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전문의들이 정상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인적·물적 자원 지원하라”고 호소했다.
또 “국회를 비롯한 지방 정부는 의료 정상화가 되기까지 적자로 허덕이는 병원 사업장에 지원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며 의견을 피력했다.
노조는 연대 발언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책임지고 병원의 위기 상황을 적극 해결하라”며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환자와 노동자 생존권 보호를 위해 계속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