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사업’ 선정
451억원 투입… 2028년부터 양자공정 서비스
출연연·대학·기업 공동연구 위한 허브역할 기대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가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전국 최고의 인프라를 보유한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시는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진행한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해 필수적인 인프라인 양자 전용 팹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전문 제작 서비스와 공정 개발, 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오는 2031년까지 8년 동안 진행될 이 사업은 2027년까지 기반 시설을 조성한 후, 2028년부터는 본격적인 양자공정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총 451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이 중 국비는 234억원, 시비는 200억원, 민간 부담금은 17억원이다.
KAIST 미래융합소자동 내에 기존의 팹 시설 외에 새로운 양자팹 전용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총 2500㎡ 규모이며, 국내 최대 520평 규모의 차세대 양자팹 공간과 시설을 갖추게 된다.
이는 정부 출연연구소, 대학, 국내외 기업, 해외 기관 등과의 공동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연구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KAIST는 양자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역량, 기존의 클린룸 운영 경험, 양자대학원의 교육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문성, 안전성, 공공성을 갖춘 개방형 양자팹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나노종합기술원과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팹의 전문성과 사업성을 확보하고,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는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핵심 공정 기술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SK텔레콤과의 협업을 통해 양자 광집적회로 모듈 개발을 추진하며, 대전테크노파크와는 중소기업의 양자팹 활용 및 창업 활동을 지원한다.
이러한 다양한 협력 관계를 통해 양자기술 산업의 성과를 조기에 도출하고자 한다.
또 카이스트 양자팹을 중심으로 양자 원천 기술 확보, 관련 기업 집적, 창업 활성화 등을 통해 대전 양자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국가 '퀀텀 플랫폼' 구축사업 등 향후 양자관련 국가 공모사업 유치의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장호종 시 경제과학부시장은 “대전은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전국 최고의 인프라를 보유한 도시로 양자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동안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라며 “앞으로 인프라 확충, 인력양성, 국내외 양자기업 유치 등을 통해 세계적인 양자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