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포털뉴스 시대, 지역신문 활성화 방안’ 발간
지원 대부분 간접적… 지역 신문 발전 생태계 위해 직접적 도움 필요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포털뉴스 시대 지역신문 활성화를 위해 지역 뉴스와 지역 정보의 노출을 강화하는 정책 및 법·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포털의 뉴스 배치에서 위치정보에 기반한 지역 뉴스 서비스를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10일 ‘포털뉴스 시대, 지역신문 활성화 방안’이라는 제목의 ‘이슈와 논점’을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뉴스 이용은 디지털 뉴스 이용방식이 84%(포털 69%, 소셜미디어 1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종이신문 정기구독률은 2000년 59.8%에서 2010년 29.0%, 2022년에는 6.3%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인터넷신문 업체는 2019년 2796개에서 2022년 4322개로 54.6% 증가했다.
포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인터넷 매체는 늘어나고 종이신문 구독은 위축되면서 지역신문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포털 중심의 뉴스 이용 환경에서 지역신문의 대표적 어려움은 기사 노출 감소에 따른 경영 악화 및 디지털 뉴스 활용 인력 부족 등이 꼽혔다.
보고서는 이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포털의 뉴스 배치에서 위치정보에 기반한 지역 뉴스와 지역 정보의 노출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 및 법·제도 마련을 검토해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위치정보 수집에 동의한 사용자에 한해 별도 섹션을 구성해 지역뉴스를 우선적으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포털 등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신문 기사를 일정 비율 이상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하자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한시법에서 상시법으로 전환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에 따른 지원의 개선 필요성도 대두됐다.
지역신문발전기금 예산은 1기(2005년~2007년) 618억원이었는데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5기(2017년~2019년)에는 235억원까지 감소했다.
6기(2020년~2022년)에는 소폭 증가한 256억원이었고 현행 7기(2023년~2025년)에는 2023년, 2024년 모두 83억원으로 전기 대비 비슷한 규모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지역신문 지원은 대부분이 지역신문발전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신문사의 경영 안정화와 제호 규모의 유지를 위한 지원정책 추진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정부가 지역신문발전 지원계획을 3년마다 수립하고 있지만 실제 사업은 모두 단년도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어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한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 대부분의 지원사업이 발생비용의 일부를 보조해 주는 등의 간접지원이라 지원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속적인 지역 신문발전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장기 사업 도입과 함께 현행의 사업비 지원방식을 직접지원 사업 위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