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전거 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일류 자전거도시 대전 조성계획’을 발표하는 등 대전시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실은 아직 갈 길이 멀다. 공용 자전거 등 자전거를 이용 인구는 늘어나고 있지만 자전거전용차로가 일부 시민들의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전거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분리 설치한 자전거전용차로에 불법주차를 하는 행태가 개선되지 않으면서 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공용 자전거 ‘타슈’의 인기에 힘입어 2026년까지 7500대의 타슈를 운영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밝혔다. 타슈 대여소 역시 총 1500개로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분석을 통해 타슈의 운영 시스템 전반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대청호수로 등 명품 자전거길을 조성해 인프라를 확충하고 가칭 대전자전거 학교 설립까지 계획하고 있다. 계획대로만 된다면 선진 유럽의 자전거 친화도시 못지않은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대전시의 이러한 청사진과 달리 제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는 자전거전용차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도안신도시 일대의 경우 수년째 저전거정용차로 불법주정차 문제가 야기되고 있지만 시민들의 많은 민원에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전거 이용자들은 차도 주행의 위험을 감수하거나 불가피하게 인도로 주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자전거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안전을 위해 인도나 차도로 주행한 경험이 있다고 답할만큼 자전거전용차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자전거전용차로가 제 기능을 온전히 하지 못할 경우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의 안전이 위협받는 사실은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자전거 교통사고로 449명이 목숨을 잃었고 2만 900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는 통계를 감안하면 안전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인식 전환과 함께 자전거전용차로 불법주정차에 대한 단속과 처벌 강화 등 제도적 조치도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