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17일 대전의 한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나오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17일 대전의 한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나오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김태흠 충남지사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맞춰 충남에 국립 의대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어제 기자회견을 열고, "지방 의료가 붕괴한 상황에서 의대 정원 확대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충남에 국립 의대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가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지방 의료 현실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밝혔다. 충남에 국립의대 유치의 당위성을 설파한 것이다.

충남에 국립 의대 설립은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공약이자 김 지사의 공약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후보시절 충남 유세에서 내포신도시에 국립대 부속병원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김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1년 전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 시 의대 정원확대와 충남 국립 의대 설립을 가장 먼저 건의했다"고 상기시켰다. 충남에 국립 의대 신설은 충남도의회의 단골 메뉴이기도 하다. 내포신도시가 조성된 지 10년이 지난만큼 공약을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충남도가 국립 의대 신설에 주력하는 건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 수는 2.6명인데, 충남은 1.5명으로 전국 평균에 훨씬 못 미친다. 그나마 예산, 태안, 청양, 당진, 계룡 등은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 수가 1명도 안 된다. 전국 평균 기준으로 볼 때 충남은 의사 수가 최소 5000명이어야 하나 실제로는 3000여명으로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광역자치단체 중 충남·전남·경북 단 3곳만이 국립 의대가 없는 것도 의대 유치 배경이다.

김 지사는 "도민의 생사가 걸린 문제"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국립의대 신설을 강력히 요청했다. ‘의대정원 확대 범도민 추진위원회’ 등을 결성해 최선을 다하겠다"고도 했다. 우리는 본란을 통해 의대 정원 확대가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지방 의료 현실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충남도의 국립 의대추진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