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교권 이대로 괜찮나]
서울 서이초 교사 추모 공간 마련
"교권 보호책 마련되길" 의견도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제 일이 됐을 수도 있고, 제 옆 반에 근무하는 선생님의 일이 될 수도 있었다는 생각에 공간을 찾았어요."
24일 오전 11시, 충남교육연구정보원 1층 로비에 마련된 서울 서이초 교사의 추모 공간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20일 서이초에서 근무하던 한 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며 전국 곳곳에 추모공간이 생기고 있다.
충남교사노조와 전교조 충남지부, 충남교총 등 지역 6개 교원단체도 지난 23일 추모공간을 공동으로 마련했다.
추모 기간은 오는 29일까지로, 추모공간은 매일 오후 7시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김지철 교육감은 23일 추모공간을 방문해 방명록에 "선생님의 맑은 영혼에 부끄럽지 않게 선생님들이 존엄을 지키고 교육활동에 전념하시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추모공간이 마련된 지 이틀이 지난 24일, 추모객들은 슬픔에 잠긴 채 서이초 교사를 그리워했다.
천안의 한 초등학교 교사 A 씨는 충남에도 추모공간이 마련됐다는 소식을 듣고 한 시간이 넘는 거리를 한달음에 달려왔다고 했다.
A 씨는 "각종 민원에 힘들어하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서 이번 일이 더 남일 같이 느껴지지 않았다"며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울먹이며 말했다.
서산의 한 초등학교 교사 B 씨는 서이초 교사에 대한 추모 공간이 마련된다는 소식을 듣고 자원봉사를 지원했다.
B 씨는 "교실 내에서 교사로서 해야 할 일들을 해내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학생인권도 중요하지만 교권도 존중받을 수 있도록 교권 보호책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서이초 사건이 충남학생인권조례 폐지 논의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학생인권을 지나치게 보장해 교권이 추락하며 이번 사건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지역 교원단체는 사건의 진상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건을 이용해 조례 폐지를 주장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재영 충남교사노조위원장은 "학생인권과 교사인권 둘 다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아직 사건 진상이 밝혀지지 않은 만큼 지금은 서이초 교사에 대한 애도와 사건 진상 규명에 집중했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