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층 폭염대비 물품 지원 강화
침수위험 취약지·소하천 정비 등
각 지자체, 다양한 종합대책 추진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올여름 무더위와 많은 비가 예상되면서 충청권 지자체들이 폭염과 풍수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대전시는 오는 9월 말까지 폭염대비 종합대책 기간으로 설정하고 폭염피해 예방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먼저 16억 5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회 취약계층과 현장근로자, 노년층 농업종사자 등 3대 취약 계층에 대한 폭염대비 물품 지원을 강화하고 폭염저감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위험기상 사전 알림 서비스’를 운영하고 취약계층 거주지역에 얼음물 공급을 확대한다. 또 폭염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전시 산하 야외근로자와 공공기관 근로자, 민간 공사자 근로자들에게 쿨토시 등 폭염예방물품을 지원할 예정이다.

집중호우에 대비해 풍수해 종합대책도 추진한다.

시는 4억 9300만원을 투입해 지역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70곳과 반지하주택 57곳에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한다. 또 지난 3월 15일부터 두 달간 집중호우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 165곳과 야영장 14곳, 하천시설물 34곳 등에 대한 점검을 마쳤다.

세종시는 지난 15일부터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월 지방하천 하도와 제방, 소하천을 정비했고 2~4월 하수관로 유지보수공사를 시행했다. 또 자율방재단을 읍·면·동으로 확대해 재난관리 역할을 부여했고, 다정동과 금남면 봉암리 등에 있는 침수위험 취약지 3곳에 차단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여름철 폭염 사전대비 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폭염 대책 마련에도 집중하고 있다.

폭염에 앞서 그늘막 432개와 무더위쉼터 517곳을 점검했고, 그늘막 수요를 조사해 추가로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다. 생활지원사와 방문건강관리인력 등을 활용해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건강도 살필 예정이다.

충남도는 바다와 도시, 농촌이 혼재한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여름철 풍수해 대책을 세웠다.

도는 24시간 상시 비상근무체계를 운영하면서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비해 안전관리 사각지역을 관리하고, 실시간 재난정보를 전파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또 급경사지와 저수지, 반지하, 둔치 주차장 등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419곳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충남 부여에 시간당 110㎜를 넘는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연합뉴스
충남 부여 집중호우 피해. 사진=연합뉴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