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청 전경 [대전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시청 전경 [대전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50년 대전의 모습을 구체화하고 대한민국 중심 도시로 한단계 도약하는 미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대전시는 19일 '2050 담대한 도전, 대전이 대한민국의 미래다'를 주제로 2050 대전 미래전략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

TED식 강연을 중심으로 진행된 이날 토크콘서트는 기조연설과 함께 도시계획·교통, 사회·경제·산업 등 분야에 대한 강연과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먼저 기조연설에 나선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대전의 과거와 현재를 살핀 뒤 '자랑스런 일류도시 대전'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또 살기좋은 도시, 미래가 있는 도시, 고급 일자리가 있는 도시, 가보고 싶은 도시 등 비전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강조했다.

이어 도시계획·교통 분야를 다룬 첫 번째 세션에서 김인희 서울연구원 기획조정본부장은 '2050 Grand Plan: 서울의 물길, 철길, 찻길의 재구성 사례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강연했다.

김 본부장은 도로 및 철도의 지하화를 통한 지상 공간 재생과 일상보행권 보장을 미래전략으로 제안했다.

이후 이상호 한밭대 교수의 사회로 이제승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김상조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장, 김영국 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이 도시공간구조의 재편 방향과 미래 스마트교통에 대해 토론했다.

경제산업 분야에 대한 두번 째 세션에서는 '대전의 견고한 미래: 자유롭게 선택하는 시민, 선택의 기회를 북돋우는 지자체'를 주제로 한 이원재 KAIST 교수의 강연이 있었다.

또 모종린 연세대 교수의 '로컬 콘텐츠 중심의 지역 산업 육성'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고 김석호 서울대 교수의 진행 아래 이석봉 시 경제과학부시장과 구자현 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장 등의 토론도 이뤄졌다.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저출산과 고령화, 디지털·녹색 전환의 가속화 등 대내외적 여건 변화는 대전시가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 위기 요인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대전시 현재를 진단하고 대전환의 시기를 앞둔 대전의 미래 모습 그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날 “전략이 없는 도시에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전략과 전술을 제대로 짜야만 미래를 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대전의 미래를 바꿀 새로울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 남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