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속보>=정부가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을 최초로 발표하며 최근 고독사가 급증한 대전지역의 관심이 높다. <지난 2월 14·15·16면 각 1면 보도>
18일 보건복지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정부 차원에서 고독사 예방 계획이 수립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19 암흑기를 겪으며 전국적으로 고독사가 크게 증가한데 따른 것인데 대전은 그중에서도 특히 증가폭이 매우 큰 지역으로 분류된다.
실제 대전 지역 고독사 사망자수는 최근 5년 새 128% 증가했다.
지난 2017년 56명에서 2021년에는 128명으로 가파르게 늘어나 전국 평균(40%) 증가율을 훨씬 웃돌았다.
고독사 연평균 증가율의 경우 대전이 23%로 전국에서 제주(38.4%) 다음으로 높았다.
전국 평균이 8.8%임을 감안하면 가히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이번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정부는 ‘고독사 위험군 발굴 및 위험 정도’를 판단하는 것에 우선하고 있다.
공동주택 입주자대표회의 등 인적 안전망이나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연계해 위험군을 발굴하고, 위험정도를 판단할 점검표나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어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해 지역공동체 공간, 자조모임 등 사회관계망 형성 더 나아가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응급상황 감지 지원 등 ‘연결’에 초점을 맞췄다.
무엇보다 고독사는 생애주기별로 특성과 원인이 다른 만큼 연령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청년 위험군의 경우 고립·은둔청년에 대한 정서·취업 지원을 강화하고, 중·장년에 대해선 건강관리·안전, 가사, 재취업, 사회관계 등 중·장년의 각종 일상생활 문제 관리를 위한 서비스 지원한다.
노인층은 지역 내 다양한 의료·건강관리·돌봄 서비스 등 지역사회 중심으로 통합지원을 추진한다.
특히 시신 인수자가 없는 고독사 사망자에 대한 공영장례를 확대, 시신 발견·수습 과정에서 유가족과 주변인이 겪는 정신적 외상을 치료할 심리안정화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3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추진 중인 ‘고독사 예방·관리 시범사업’을 확대해 지역 실정에 맞게 지역이 주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를 위해 중앙·지역별 전문기관을 지정해 인력 확충, 정보시스템 구축, 실태파악을 진행할 것”이라며 “고독사 실태파악 주기도 현행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해 매년 사망자 현황과 위험군의 서비스 욕구 등을 촘촘하게 파악하겠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