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교재와 지문·도표 유사하게 출제
“적정 난이도 갖춰 변별력도 높일 것”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오는 11월 16일로 확정된 가운데 EBS 연계율 50%를 유지하고 적정 난이도를 갖춰 변별력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4학년도 수능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재작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 수능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이과 통합형’으로 출제된다.
주요 특징은 국어와 수학, 직업탐구 영역에 적용되는 ‘공통+선택과목’ 구조다.
수험생들은 국어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중 하나, 수학은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는 간접 방식으로 이뤄지고, 연계 교재에 포함된 도표, 그림, 지문 등 자료 활용을 통해 연계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다.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50% 수준을 유지한다.
지난해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격차가 컸던 만큼 올해 변별력을 갖추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올해 수학이 작년보다 쉽게 출제되지 않겠냐는 섣부른 예측은 위험하다고 조언했다.
국어와 수학의 난이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올해 수학 난이도를 낮추는 것 대신 국어 난이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성급히 학습전략을 바꾸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격차를 줄이기 위해 수학을 난이도를 낮추는 게 아니라 오히려 국어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며 “따라서 국어가 EBS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독서·문학파트에 있어 EBS 연계 대상 교제 작품을 꼼꼼하게 살피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이어 수능 주요전략으로 전략과목 위주 학습보다는 ‘고른 학습’을 추천했다.
임 대표는 “국어, 수학, 탐구과목은 상대평가고, 영어는 절대평가로 통합수능은 평가방식이 혼재돼 있고 선택과목 간 난이도 역시 예측이 어렵다”며 “당장 지난해 수능만 봐도 국어를 아무리 잘 봤어도 수학을 잘 본 수험생을 이길 수 없는 구조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어가 전략과목이었던 수험생들이 낭패를 봤던 만큼 한 과목만 집중하는 건 통합수능에서 상당히 위험하다”며 “현재 등급이 예상보다 안 나오는 과목이 있다고 해도 절대 포기하지 말고 전 과목 고루 학습을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같은 수능 시행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평가원은 이달 말 올해 수능 안내자료 3종을 평가원 홈페이지에 탑재하고, 해당 책자를 전국 고등학교에 배포할 예정이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