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유치 대상 34곳 공식화
‘우선선택권’ 보상책으로 꺼내
한국환경공단 등 13곳 대상
대전시, 24곳 대상 물밑작업
정주여건 개선 등 대응책 마련

대전시청과 충남도청.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서면서 향후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혁신도시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공공기관 유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12일 양 시·도에 따르면 최근 충남도는 제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 이전 시 유치 대상 기관 34곳을 공식화했다.

특히 도는 2020년 10월 혁신도시로 지정되고도 공공기관 이전 등 후속절차가 없었던 데 대한 보상차원으로 우선선택권(드래프트제) 적용을 꺼내 들었다. 34곳의 대상 기관 중 드래프트제가 적용되는 곳은 13곳인데 본사 종사자 500명 이상이 9곳, 100명 이상이 4곳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등이 해당된다.

이밖에 탄소중립, 문화·체육, 중소·벤처 등 세가지로 구분된 충남특화 기능군 유치기관 21곳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대전시도 철도교통, 지식산업, 중소기업 등 분야에 중점 유치대상 공공기관 24곳을 정하고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다.

앞서 시는 혁신도시 지정 이후 공공기관 유치 추진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으며 전략사업추진실, 철도광역교통본부 등 실국에서 공공기관 유치 업무를 부담하고 있다.

시는 중점 유치기관을 중심으로 유치활동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정주여건 개선 등 분야별 대응책 마련을 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인구 유입 등 혁신도시 본래 취지에 걸맞은 파급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관련된 기관 유치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는 "성공적인 혁신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공공기관 유치가 우선시 돼야 한다"며 "대전시나 충남도가 지속적으로 관련 기관을 설득하는 작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또 충청권 메가시티를 염두에 두고 대전과 충북, 충남이 역할 분담을 통해 공동대응에 나서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며 "유치 희망 공공기관 중복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구환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도 "단순 공공기관 이전 만으로는 지역 경제 발전 및 인구 소멸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지역에 맞는 공공기관을 유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권역별로 특화된 기능을 육성할 필요가 있는데 대전의 경우 과학기술과 관련된 공공기관을 유치한다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혁신도시 인구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23만 2632명(계획인구 26만 000명의 87.1%)으로, 2017년 말(17만 4277명) 대비 5만 8355명(33.5%) 증가했다.

또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동반·1인가구 이주율은 67.7%(기혼자 기준 55.7%)로 2017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