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대전을지대병원·충남대병원·순천향대천안병원 4곳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자 0명, 다른 병원도 만성 인력 부족
개원 앞둔 대전시 공공어린이재활병원도 비상…구체적 대안 필요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충청지역 대학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 사태가 이어지면서 소아 진료체계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61개 대학병원의 올해 상반기 레지던트 모집 결과 소아청소년과 모집 정원 대비 확보율은 20%에 불과했다. 충청권 대학병원에서도 전공의 미달 사태가 속출했는데 올해 상반기 기준 건양대병원, 대전을지대병원, 충남대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등 4곳은 단 한 명의 지원자도 못 받았다. 대전을지대병원과 충남대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은 지난해에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확보하지 못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충북대병원은 지난해 3명, 올해 상반기 1명을 뽑아 확보율 100%, 33.3%를 각각 기록했다.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는 전공의 모집에 어려움을 겪다 보니 만성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충남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는 정원의 23.07%인 3명에 불과하며, 이들마저도 이달 말까지만 근무한다. 당장 내달부터는 전공의 없이 전문의 19명 만으로 소아청소년과를 운영해야 한다.
인력 부족으로 충남대병원의 평균 진료 대기 일수는 지난해 3, 4분기 기준 22일로 2017년 1분기(7일) 대비 15일 증가했다. 내달 개원을 앞둔 대전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역시 소아청소년과 의사를 확보하지 못 해 비상이 걸렸다.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재활병원에서 근무할 소아청소년과 의사 등을 모집했지만 현재까지 재활의학과에 전문의 1명이 응모한 게 전부다. 지역 내 소아청소년과 의원도 줄고 있다.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을 보면 대전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2013년 67곳에서 지난해 58곳으로 10년 새 13% 감소했다. 양은애 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청소년과는 부모 민원 등 높은 업무 강도와 형사처벌에 대한 부담감 등에 비해 수가(진료비)는 낮다"며 "노력에 비해 보상이 적기 때문에 특별한 사명감을 띠지 않는 이상 선뜻 지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소아 진료체계가 붕괴 수준에 다다르자 보건복지부는 지난 22일 소아 의료 체계 개선책을 내놨다. 어린이공공전문진료센터를 10곳에서 14곳으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를 8곳에서 12곳으로 각각 4곳씩 더 늘리는 내용이 골자다.
복지부는 전공의의 긴 근무시간 등 근무여건도 개선하고, 야간이나 휴일에 외래진료를 하는 ‘달빛어린이병원’에 대한 수가도 높이기로 했다. 지역 의료계는 이번 정부 대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더욱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대전지역 A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의사 부족 사태에 대해 관심 갖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 자체는 의미 있다"면서도 "단순히 수가 확대 만으로 현재 갖고 있는 구조적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소아청소년과에 지원하는 보상체계를 더욱 크고 구체적으로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