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채권단 결의를 접수한 결과 동의율 96.1%로 워크아웃 개시를 결의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에 불이 켜져 있는 모습. 2024.1.12 사진=연합뉴스.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채권단 결의를 접수한 결과 동의율 96.1%로 워크아웃 개시를 결의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에 불이 켜져 있는 모습. 2024.1.12 사진=연합뉴스.

연초부터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부도 위기에서 워크아웃에 들어간 태영건설을 비롯해 건설과 부동산 업종의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15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을 보면 작년 3분기 기준 전체 금융권의 건설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608조5000억원에 달했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8%,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2.3%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대출 증가세와 함께 비은행권에서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2년 사이 상호금융조합, 보험사, 여신전문 금융회사 등 비은행권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이 155조원에서 193조6000억원으로 24.9%가량 급격이 늘어났다. 실제 지난해 3분기 비은행권 건설·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5.51%, 3.99%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비은행권 연체율이 급증할 정도로 자금 사정이 나쁘다는 것인데, 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특단의 조치가 요구된다.

문제는 건설업계 부진을 타개할 건설경기 전망도 녹록치 않다는 데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현 건설시장을 가장 나쁜 상황인 ‘심각’ 단계로 진단했다. 2022년 4분기 이후 건설수주와 건축허가, 착공 면적이 모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작년 3분기 기준 건축허가 면적과 착공 면적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8%, 44.2% 줄었다. 허가와 착공은 1~2년 이후 건설경기에 영항을 미친다는 점에서 올해 건설 물량 감소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선 건설업계의 위기가 자칫 금융권으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이 부동산 PF 대출을 무리하게 끌어쓰다 금융소비자들에게 손해를 끼친 새마을금고 사례와 같이 더 큰 피해로 번지지 않도록 정부도 부실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건설 사업장의 실태점검을 비롯한 맞춤형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부실 건설사의 구조조정도 보다 강력하게 추진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