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때 독립기념관 내부 숲·통일 상징하는 밀레니엄숲 조성
현재 내부 통일열차 관리 부재로 부식과 변색에 흉물로 방치 민원多
방치된 시설에 철거·폐기검토 나오기도… 현재 관련 예산 줄어들어
[충청투데이 이재범 기자] 정부가 21세기를 맞아 남북통일과 민족화합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아 독립기념관 내에 조성한 ‘밀레니엄숲’이 잊혀가고 있다.
특히 밀레니엄숲 내부에 설치된 ‘통일열차’는 관리 부재로 인한 부식 및 변색에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독립기념관 등에 따르면 김대중 정부는 지난 2000~2003년 독립기념관 내부 5.5㏊에 한반도 모형을 한 밀레니엄숲을 조성했다. 환경을 지켜주는 나무와 숲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민족의 화합, 통일과 안정·번영을 상징하는 숲 조성이 목표였다.
밀레니엄숲은 ‘단풍나무길’ 끝자락에 위치한 ‘조선총독부 철거 부재 전시공원’ 위쪽에 조성됐다. 2000년 4월 5일 ‘제55회 식목일’에 이뤄진 기념식수에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휘호 여사를 비롯해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곳에는 함경도와 경상도 등 전국 팔도의 상징수목 45종, 2만 3696그루 나무와 32종 1만 4200본의 우리 꽃이 심어졌다고 한다. 또 밀레니엄숲 내부의 백두대간에 420m 철도레일을 설치하고 통일열차를 전시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 숲은 서서히 잊혀갔다. 이곳의 존재를 알리는 것은 독립기념관 리플릿이 전부였다. 밀레니엄숲을 안내하는 별도 표지판은 찾아볼 수 없다.
게다가 이곳에 있는 통일열차의 보존 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기관차 1량에 객차 2량이 연결된 통일열차는 현재 심각한 부식으로 외부 도색이 뜯겨나간 상태다.
외부에 그려 놓은 태극 문양과 무궁화는 녹이 흘러내리거나 군데군데 벗겨져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또 객차의 일부 유리창마저 깨진 상태였으며, 내부에는 먼지가 오랜 기간 쌓여 방치됐다. 새천년을 기념해 조성한 숲과 심혈을 기울여 꾸민 통일열차의 의미를 찾아볼 수 없는 지경이었다.
이렇게 방치된 열차는 관람객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주로 유리창이 깨져있다는 민원이 기념관 측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전해진다.
기념관 측에서도 통일열차에 대한 관리를 못하고 있는 부분은 인정하는 상황이다. 다만 관리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을 토로하고 있다.
기념관 관계자는 “처음 숲이 조성되고 몇 년 간은 관리가 이뤄졌는데 어느 때부터 관련 예산이 줄어들면서 현재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현재 유지관리 예산은 관람객 주동선을 우선적으로 하는 실정이다. 철거나 폐기처분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이어 “열차 관리에 필요한 예산은 약 3000만 원으로 보인다. 예산만 지원된다면 제대로 보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재범 기자 news780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