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보다 현장, 선언보다 실천…생활정치로 의회의 새 역할을 세우다
[충청투데이 김흥준 기자] 논산시 의정의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 시민의 삶 한가운데서 답을 찾는 실천형 의정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그 중심에는 지난해 7월 후반기 의장으로 취임한 조용훈 논산시의회의장이 있다. 취임 당시 그는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생활정치를 실현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그 약속은 단순한 구호에 머무르지 않았다.
조 의장은 취임 직후부터 행정 일정보다 먼저 시민의 일상과 현장을 찾았다. 집중호우, 무더위, 농번기 등 시민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면 장소를 가리지 않았다. 책상에서 해결책을 찾기보다 직접 현장에서 현실을 확인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민주주의의 출발점이 ‘현장’이라는 신념이 그의 의정 방식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의 또 다른 의정 철학은 ‘낮은 의회’다. 의회가 시민에게 멀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실패한 의정이라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는 지역 각계 현장에서 제기되는 의견을 정례적으로 청취하고, 그 내용을 상임위와 본회의에서 정책적으로 정리해 집행부와 공유하고 있다. 감사나 견제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정과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조율하는 협치의 틀을 마련했다. 협력은 하되 원칙은 놓치지 않는 균형 잡힌 리더십이라는 평가가 따라붙는다.
지역 현안에 대한 분석에서도 그는 정확한 방향성을 제시해 왔다. 저출산·고령화와 지방소멸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논산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문제로 규정하고, 청년·가족·고령층 지원 정책을 의회 차원에서 뒷받침하는 기반을 강화했다. 특히 일자리·복지·교육·농촌경제 등 생활 분야를 중심에 둔 접근은 ‘삶의 변화를 만드는 의회’라는 그의 지향점과 맞닿아 있다. ‘행정 중심’이 아닌 ‘시민 중심’이라는 원칙이 흔들리지 않는 이유다.
조 의장은 올해 1월 새해가 시작되면서 “시민이 변화를 체감하는 해”로 선언했다. 의정 홍보가 아니라 정책 체감 결과로 평가받겠다는 의지다. 실제로 그는 각 의원이 담당 분야를 세분화해 책임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도록 의회를 재정비하고, 민생 조례 발굴과 정책 연구 활동을 체계화하는 데 힘을 싣고 있다. 변화의 속도보다 방향을 우선시하는 의정이라는 점에서 시민의 신뢰도 높다.
이러한 맥락에서 조용훈 의장의 행보는 단순한 의장직 수행을 넘어 새로운 ‘의회의 역할’을 증명하는 여정이다. 시민 곁에서 듣고, 함께 뛰고, 변화를 실천하는 의회. 지금 논산시의회가 만들어 가는 풍경은 그 정의에 정확히 맞닿아 있다.
김흥준 기자 khj50096@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