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예산 956억원
국립 파크골프장 표준모델 개발 추진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세종시 국비팀이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겨냥한 새 정부 차원의 추가 국비지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등 행정수도 완성의 핵심사업 예산이 대폭 증액 반영되면서, 이에 걸맞은 기반시설과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한 내년 정부 예산안을 보면 총지출 728조원 중 세종시 관련 예산은 1조 7279억원으로 전년보다 1478억원(9.4%) 증가했다. 정부 총지출 증가율(8.1%)을 상회하며, 인근 대전·충남·충북보다 높은 수준이다.
무엇보다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 구축 지원에 집중된 점이 눈에 띈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예산은 956억원, 대통령집무실 건립 예산 24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606억원, 195억원 증액됐다. 누적 확보액은 의사당 2153억원, 집무실 298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흐름 속, 행정수도의 위상에 걸맞은 추가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시는 당장 ‘국립 파크골프장 표준모델 개발사업’을 신규사업 목록에 올렸다.
세종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전국적인 표준 모델을 개발하는 방안으로, 연구용역비 1억원의 국비 반영을 구상하고 있다. 고령층 여가수요와 무분별한 파크골프장 조성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표준화 사업 추진이 핵심이다.
세종지방법원 건립사업도 더 이상 늦출수 없는 과제로 설정했다. 법원설치법 개정으로 설치 근거가 마련된 만큼, 설계비 10억원을 반영해 본격적인 행정절차에 착수하겠다는 구상이다.
세종시 첫 국가사적지인 ‘한솔동 고분군’의 역사·관광 자원화 사업예산 확보에도 공을 들인다. 시는 종합정비기본계획 수립비와 조명 설치 등 4억원의 국비 추가 반영을 요청하고 있는 상태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 지원과 바이오지원센터 구축 등 교육연계형 자족기능 강화사업 추진 관련 국비확보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
시 국비팀은 ‘지방분권 종합타운’, ‘제2행정지원센터’ 등 예비타당성 검토 단계 사업에 대해서도 관계 부처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시는 최근 국회세종의사당 인근 세종시국회건립지원협력사무소에서 ‘2026 국비확보 현장상황실 현판식’을 열고 현장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