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설명회 열고 기준안 공개
전문진료질병군·경증 회송률 비율 상향
충남대·충북대·건양대병원 등 준비 돌입
세종 상급종합병원 요건 충족 어려울 듯

의료진. 사진=연합뉴스.
의료진.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최근 보건복지부가 변경된 제6기 상급종합병원 지정 평가 기준을 공개하면서, 충청권 주요 대학병원들이 재지정을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는 중증환자 비율과 경증환자 회송률 등 주요 지표가 강화된 만큼, 지역 의료계 전반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제6기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은 전문진료질병군 비율, 의원 중점 외래질환 비율, 경증 회송률 등이 직전보다 상향된 것으로 전해졌다.

입원환자 전문진료질병군 비율은 34%에서 38%로, 외래환자의 의원 중점 외래질환 비율은 7%에서 5%로 조정됐다.

경증환자 회송률은 기존 0.1~3.0%에서 0.5~6.0%로 확대됐으며, 간호교육 전담인력 확보율과 소아응급환자 분담률, 중증상병 환자 분담률 등도 새로 평가항목에 포함됐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희망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명회에서 해당 기준을 공개한 바 있다.

지정 기준이 세세하고 복잡한 만큼, 확정 전까지 병원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6월에는 확정을 짓는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견 수렴을 통해 세부적인 내용은 조정될 수도 있다"며 "내년 6월 말 확정안 발표 후 연말에 지정 결과 발표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의 큰 줄기가 가닥이 잡히면서, 지역 의료계도 두 팔을 걷어 올리는 모습이다.

현재 충청권에서는 충남대병원과 건양대병원, 단국대병원, 충북대병원 등 4곳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돼 있다.

충남대병원과 충북대병원의 경우 1기부터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돼 온 만큼 이번에도 차질 없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충남대병원의 분원인 세종충남대병원은 이번 지정에는 신청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과 제주만 상급종합병원이 없어 각 지역의 지정 여부도 관심사로 꼽혔지만, 세종의 인구 규모와 병상 수 등을 고려할 때 현 시점에서 상급종합병원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건양대병원은 강화된 평가 기준에 맞춰 체계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특히 소아응급, 중증질환 등 필수 의료 분야 분담률 향상과 회송체계 강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대전을지대병원과 대전성모병원, 대전·유성선병원 같은 지역 내 2차 병원은 상급종합병원 도전보다는 현 체제를 고수한다는 분위기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상급종합병원이 지역민 입장에서는 장단점이 있다"며 "접근성이나 진료비 측면에서 현 단계가 더 낫겠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