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문화원, ‘청풍승평계 132주년 기념’ 작곡발표회 개최

청풍승평계 헌정곡을 작사한 손도언 씨.제천=이대현 기자
청풍승평계 헌정곡을 작사한 손도언 씨.제천=이대현 기자
청풍승평계 헌정곡 초연 모습.제천=이대현 기자
청풍승평계 헌정곡 초연 모습.제천=이대현 기자

[충청투데이 이대현 기자] “울고넘는박달재를 잇는 명곡되길"

제천지역에서 활동한 우리나라 최고(最古) 국악예술단체 ‘청풍승평계’의 예술 혼을 기리는 헌정곡이 공개됐다.

수 년 전부터 청풍승평계의 역사적 고증과 가치를 연구해 온 제천문화원은 지난 1일 제천시민회관 광장에서 ‘청풍승평계 132주년 기념 작곡발표회’를 열고 일반에 공개했다.

‘132년 전통의 맥을 잇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지역문화예술인들은 악성 우륵의 예맥을 계승하고 청풍승평계의 음악적 가치와 예술혼을 되새겼다.

청풍승평계 헌정곡(작곡 김병섭·작사 손도언)은 굿거리장단(8분의 6박)의 평조음계로 구성된 3절 형식의 곡으로 132년 전 청풍승평계 단원들의 예술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흥겨우면서도 대중적으로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작사를 맡은 손도언 씨는 지역에서 활동하는 현직 기자다.

서울국립창극단의 오민아·이시웅 명창이 소리판을 이어가고 중고제 명창 황은진이 헌정곡 중심 무대를 맡았다.

윤종섭 제천문화원장은 “청풍승평계 헌정곡이 ‘울고 넘는 박달재’에 이어 제천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상징곡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1893년 33명으로 구성한 청풍승평계는 현재의 국악관현악단 같은 직급 체계를 갖춘 악단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도호부(청풍·수산·한수면에 있던 옛 고을)에서 활동한 국내 최초의 악단으로, 1965년 창단한 서울 국악관현악단보다 72년 앞선다.

이대현 기자 lgija2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