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민자적격성 조사 거쳐 본격 추진
‘나성동역’ 대신 ‘국회의사당역’ 의견
세종시 재정난 속 사업비 증가 우려↑
세종의사당 등 조기개통 필요성 제기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대전·세종·충북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정부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거쳐 본격추진 단계 진입을 앞둔 가운데, 정차역 갈등과 지방정부 예산 부담, 조기 개통 여론이 맞물리면서 다시한번 뜨거운 논쟁거리로 떠오를 전망이다.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중부권 핵심 교통 인프라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해 6월 CTX 민자적격성조사를 시작했다. KDI는 연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사업이 본격 추진 단계에 접어드는 신호탄으로 여겨진다.

새정부는 제3자 공고(2026년 2분기), 실시협약(2027년 4분기)을 거쳐 2028년 착공, 2034년 개통 시나리오를 그리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 CTX를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전환해 사업추진을 공식화((대통령민생토론회)한 상태로. 민간사업자인 DL E&C가 제출한 ‘최초 제안서’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구상 중이다.

총사업비는 4조 4800억여원으로, 국비 35%(1조 5680억원), 지방비 15%(6720억원 중세종시 부담 2600억원), 민간투자 50%(2조 2400억원)로 구성됐다. 개통 후 운영은 민간사업자가 40년간 맡는다.

본격적인 추진이 가시화하면서, 정차역 배치를 둘러싼 논란도 재점화될 전망이다.

반석역~대평동~나성동~정부세종청사역 등을 연결하는 기존 구상에서 ‘정부청사역이나 나성동역을 건너뛰고 국회의사당역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회 세종의사당이 행정수도 교통 인프라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정차역 배치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세종시의 분산형 도시 구조상 정차역이 많아질 경우 급행철도의 본질이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일정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민자적격성 조사 완료 후 지자체로부터 노선 및 정거장 조정, 역세권 개발 등의 의견을 수렴해 추진 가능한 계획을 반영한 뒤 ‘제3자 제안 공고’를 실시하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행복도시건설청과 협력해 가능한 한 조속히 정거장 신설 및 환승센터 건설 방안 등을 마련, 국토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만성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세종시의 재정 부담도 현실적인 걸림돌로 지목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일부 구간은 지하 50m 이상 대심도 공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돼, 사업비 증가 우려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새정부가 약속한 대통령 집무실 및 국회 세종의사당 개원 일정에 맞춘 조기 개통 여론이 한층 더 거세질 전망이다.

수도권 GTX 노선들이 2029년까지 잇따라 개통될 예정인 상황에서 새 정부가 충청권 교통 인프라 확충에 어느 정도 관심을 보이느냐가 향후 사업 추진 속도의 중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