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 4년간 전국 지방자치단체 운영 시스템에 무려 5000만 건에 달하는 해킹 시도가 있었다니 보통 문제가 아니다. 한해 평균 1200만 건, 하루 평균 3만2000 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셈이다. 올 들어 7월 말까지 1887만 건의 해킹 시도가 적발됐다. 지난해 1158만 건을 이미 넘어섰다. 2022년 800만 건에 비하면 매년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느 지자체의 서버가 공격당하고 있을지 모른다. 유형별 해킹 시도는 서비스 거부(491만 건)가 가장 많았고, 정보 수집(344만 건), 시스템 권한 획득(146만 건)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 26일 대전 유성구 소재 국가정보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행정전산망이 마비돼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온라인 민원발급을 비롯해 금융기관 이용 등에 제약을 받고 있다. 지자체 운영 시스템이 해킹을 당하면 국가정보원 화재에 버금가는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실제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정지 등 15건의 피해가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시의 보안망도 뚫린 적이 있다고 한다. 수백만 건의 해킹 시도 중 10여 건의 피해만 당했으니 별일 아니라고 간과해선 곤란하다.
전체 해킹 시도의 99%가 서울과 충남지역에 집중된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올 7월 기준 충남에서만 1200만 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모든 지자체가 해킹에 대비해야겠지만 충남은 더 철저한 보안강화가 요구된다. 지자체뿐만 아니라 대학도 해킹의 표적이다. 지난해 1월 충남의 한 대학이 해커의 공격을 받아 한 때 소동을 빚기도 했다. 해커들은 실력을 입증하거나 과시하기 위해 무차별 공격을 서슴지 않고 있다. 공격이 진화하고 있는 만큼 방벽을 두껍게 쌓아야 한다.
해커를 붙잡기란 사실상 어려울 뿐더러 붙잡았다 한들 빼간 정보를 회수할 길이 막막하다. 정보보호 체계를 강화해야 하는 까닭이다. 국가정보원 화재에 따른 혼란도 이중화 시스템의 미비로 일어났다. 백업 장치가 제대로 돼 있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지자체들은 해커의 공격을 원천봉쇄 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돼 있는지 돌아보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