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실 내 CCTV 등 다각도 분석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정부 시스템 마비를 초래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원인 규명을 위한 본격 수사에 돌입했다.
안정화 작업이 완료된 일부 배터리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하고, 현장 작업자 조사와 전산실 내 CCTV 분석에 나서는 등 화재 경위를 다각도로 추적하고 있다.
29일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은 “지난 27일부터 화재 당시 전산실에서 배터리 분리와 이전 작업을 진행한 업체 관계자 7명을 차례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당시 현장에 13명이 있었다고 밝혔으나, 경찰은 전산실에 드나든 인원을 특정하기 위해 추가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용일 전담수사팀장은 “우선 화재 전후가 담긴 CCTV 영상을 확보했고, 현재 단계에서는 정확히 몇 명이 현장에 있었는지 얘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CCTV상 시간과 실제 시간이 맞지 않는 등의 오차도 있어 보정작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조사 초기 단계인 만큼 현재는 참고인 조사 형식으로 진행 중이다.
경찰은 현장 작업을 실시했던 작업자의 고용 형태와 관계에 대해서도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국정자원이 도급을 맡긴 업체는 대전의 한 통신장비업체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현재로서는 당시 작업자들 모두 전기기능사 등 관련 자격증을 갖춘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작업자 간에 하도급 구조가 얽혀 있는 데다 고용 형태와 소속에 대한 작업자 간 진술이 엇갈려 추가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밖에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 내부와 외부의 CCTV 영상 분석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경찰이 파악한 영상에는 불이 나 연기가 번지는 등 전후 상황이 담겼지만, 발화 지점을 근접 촬영한 장면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작업자 진술과 CCTV 분석을 종합해 화재가 배터리 자체에서 발생했는지, 외부 전선 등에서 옮겨 붙은 것인지 여부를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또 잔류 전류가 확인되지 않은 배터리 3개를 국과수로 보내 정밀 감식을 의뢰했다.
해당 배터리를 발화지점으로 보고, 자체 결함이나 작업상 문제 가능성에도 집중하고 있다.
국정자원 상대로는 배터리 관리 매뉴얼과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으며, 이후 상황에 따라 추가 자료 확보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취임한 최주원 신임 대전경찰청장은 기자들을 만나 “다양한 분야 전문가 검증을 거쳐 화재 경위에 대해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도록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